[한경에세이] 따뜻한 잔혹 동화

입력 2020-07-08 18:15   수정 2020-07-09 00:02

최근 새롭게 시작한 드라마에는 동화 작가가 등장한다. 그녀가 쓰는 동화는 잔혹하다. 용감한 왕자나 유니콘이 존재하는 그런 마법적 세계가 아니라 피와 죽음, 공포가 가득한 세계인 셈이다. 어느 정도 알려진 사실이지만 우리가 알고 있는 디즈니 애니메이션의 원작은 알고 보면 잔혹 동화인 경우가 많다. 《백설공주》 《신데렐라》 《잠자는 숲속의 공주》에 등장하는 주인공은 말만 공주지, 학대받는 천덕꾸러기와 다르지 않다.

동화가 아름답게 각색되기 시작한 것은 17세기 무렵이다. 아이들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됐지만 아직 공교육이 확립되기 전, 아이들을 순화할 목적으로 가정교사의 손에 동화가 동원된 것이다. 샤를 페로 동화집으로 대표되는 동화책은 사람들의 입에서 입으로, 할머니가 어머니에게, 어머니가 자식에게 잠자리에서 들려주던 이야기였다. 민담과 전설 같은 것 말이다.

생각해보면 한국 전래동화도 꽤 잔혹하다. 엄마를 잡아먹고 난 호랑이가 엄마로 위장해 남매를 습격한다. 장화와 홍련은 계모에 의해 목숨도 잃는다. 동서양을 막론하고 동화는 원래 잔혹하고 무서운 이야기인 셈이다.

그렇다면 동화는 왜 이렇게 잔혹할까? 아니, 왜 할머니들은 아이에게 무섭고 가혹한 이야기를 밤마다 들려줬을까? 여기에는 아주 오래된 삶의 지혜가 담겨 있다. 브루노 베텔하임이라는 오스트리아의 아동 정신분석학자는 전래동화가 성장기의 두렵도록 빠른 성장의 충격을 비유한다고 말한다. 엄마의 젖을 떼고, 기저귀를 벗고, 혼자 심부름을 가는 것 자체가 굉장한 충격이라는 것이다. 아이가 어른으로 성장해가는 과정이 변화무쌍하고 가혹한 한 편의 이야기라는 의미도 포함한다.

《80일간의 세계 일주》의 주인공 필리어스 포그는 새로운 나라에 도착하면 하인을 내보내 대신 여행하게 한다. 그렇게 들은 이야기에 상상을 보태 유람기를 완성한다. 성장도 비슷하다. 전래동화는 그런 점에서 아직 가보지 않았으나 곧 닿게 될 여행지에 대한 정보와 같다. 아이에게 어른은 가보지 않은 여행지다. 그러니 잔혹 동화는 여행 전 맞는 백신인 셈이다.

그로테스크한 세계관으로 유명한 팀 버튼 감독의 첫 번째 영화는 ‘빈센트’라는 단편 흑백 애니메이션이다. 밤마다 악몽에 시달리던 소년은 더 무서운 괴물을 스스로 창조해 공포와 싸운다. ‘빈센트’는 팀 버튼의 어린 시절을 품고 있다. 무서운 세상을 견디기 위해 창작해낸 더 무서운 이야기, 그게 바로 잔혹 동화다.

동화뿐만이 아니다. 우리가 범죄 이야기나 스릴러를 본다면 그건 잔혹한 걸 좋아해서라기보다 그래야 이 무서운 세상을 더 잘 버틸 수 있기 때문이다. 아무리 무서운 이야기라도 세상보다 더 무서운 건 없으니 말이다.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