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증시 바로미터, 달러 강세… 잡히면 ‘급등’, 안 잡히면 ‘3차 폭락’ [한상춘의 지금 세계는]

입력 2020-03-23 10:00  

    요즘 들어 위험자산과 안전자산 모두 떨어지는 가운데 유일하게 올라가는 것이 달러 가치인데요. 지난 주말에는 달러인덱스가 장중 한때 113대에 바짝 다가서면서 8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한미 통화스와프 협정 소식으로 원·달러 환율이 안정세를 찾긴 했지만 1280원대 중반으로 올랐는데요. 왜 이런 현상이 발생하는 것인지, 오늘은 이 문제를 알아보는 시간을 마련했습니다. 도움 말씀을 주기 위해서 -한국경제신문, 한상춘 논설위원-이 이 자리에 나와 계십니다.

    Q. 한 위원님! 안녕하십니까? 지난 주말 미국 주가가 또다시 폭락했는데요. 특이한 사항을 중심으로 정리해주시지요.

    -美 3대 지수, 코로나 사태 우려로 또다시 폭락

    -다우지수 2만선 붕괴, 지난달 9일 대비 -35%

    -사우디와 러시아 간 갈등 재연, 유가 19달러대

    -세계 경기 침체 우려로 원유 수요 감소 한몫

    -코로나 장기화, 시장의 관심은 default에 초점

    -달러인덱스 한때 103대 근접하다가 소폭 하락

    Q. 코로나 사태 이후 미국이 가장 혼란스러운데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달러 가치는 왜 강세를 보이는 것입니까?

    -달러 가치, mercury와 mars 요인에 의해 결정

    -mercury 요인, 경기와 금리 면에서 달러 약세

    -금리 1.5%p 인하, 골드만삭스 2분기 -24% 예상

    -주가 하락폭, -35%에 달해 세계 중 가장 높아

    -mars 요인, 사상 최대 무역적자로 달러 약세

    -美 요인만 따진다면 달러인덱스 95 밑으로

    Q. 미국과의 통화스와프 협정 체결 소식으로 원·달러 환율이 안정세를 찾긴 했지만 그 이전에는 1300원까지 근접했지 않았습니까?

    -통화 가치 결정, 특정 기간 변화 속도 ‘더욱 중요’

    -한국, 경기 면에서 2018년 4월 침체 우려 지속

    -골드만삭스, 올 2분기 美 성장률 -24%까지 추락

    -Fed, 이달 들어 금리 무려 1.5% 포인트 인하

    -한국은행은 0.5%p에 그쳐 재역전…한국이 높아

    -원·달러 환율, 1200원 이상 올라갈 요인 없어

    Q. 그렇다면 달러인덱스나 원·달러 환율이 올라갈 요인이 없는데도 달러 가치가 강세를 보이는 것은 왜 그렇습니까?

    -금융위기 이후 신흥국 중심, 달러 부채 조달

    -작년부터 2025년까지 매년 4000억 달러 상환

    -신흥국 달러 부채, 대부분 10년 만기로 조달

    -신용경색으로 roll over 되지 않으면 ‘국가 부도 급증’

    -코로나 사태→달러 유동성 확보→달러 강세

    -월가, 신흥국에서 선진국으로 전염 여부 주목

    Q. 올해 들어서도 레바논이 모라토리움을 선언했는데요. 신흥국의 달러 부채 부도 조짐은 이미 오래 전부터 계속돼 오지 않았습니까?

    -13년 버냉키 출구전략 언급 후 ‘1차 긴축발작’

    -JP 모건, 구F5국 중심으로 금융시장 대혼란

    -15년 Fed의 첫 금리인상 전후 ‘2차 긴축발작’

    -골드만삭스, 신F5국 중심으로 금융시장 혼란

    -코로나 사태 이후 각국 CDS 프리미엄 급증세

    -중남미→이슬람→OPEC국가로 부도 조짐 확산

    Q. 말씀대로 신흥국 금융위기 조짐이 7년 이상 지속되고, 오히려 악화되는 것은 신흥국의 대응에도 문제가 있기 때문이지 않습니까?

    -달러 부채, 상환과 외화조달능력 제고 최선

    -신흥국, 금리인상과 환시개입 등 대증적 방법

    -아르헨티나 중앙은행, 27.25%→60% 인상

    -터키·베네수엘라·인니·한국 등도 금리인상

    -금리인상 부작용, 경기침체와 추가 외자이탈

    -경기침체, 신흥국 부채 상환 능력 ‘계속 떨어져’

    Q. 코로나 사태가 장기화됨에 따라 달러 부채가 많은 국가부터 부도가 될 것으로 보이는데요. 어떤 국가들이 부도 가능성이 높습니까?

    -IMF, 모리스 골드스타인 위기지표로 판단

    -JP모건 등 IB, 외환보유 상환계수로 판정

    -보유 외화÷(경상적자+단기차입+외자회수)

    -베네수엘라·레바논·파키스탄·스리랑카 부도

    -高위험국, 아르헨티나·터키·남아공·칠레·이태리

    -準위험국, 멕시코·콜롬비아·인니·브라질·인도 등

    Q. 앞으로 세계 증시는 어떻게 될 것으로 보십니까? 결국은 달러 유동성이 확보되는 것이 관건이 되지 않겠습니까?

    -코로나 후 세계 증시 바로비터, 달러 강세

    -달러 유동성 부족→달러 강세→주가 폭락

    -달러 유동성 확보→달러 약세→주가 급등

    -국제금융시장 상책은 코로나 사태 진정 여부

    -코로나 진정→달러 부채 롤오버→금융안정

    -차선책으로 각국 중앙은행, 초금융완화 추진

    지금까지 한국경제신문사의 한상춘 논설위원이었습니다.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