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값이 바닥이냐 아니냐''
최근 부동산시장의 최대 화두다.
소형 아파트값이 오르고 지방 분양시장이 살아나면서 집값 바닥시기가 임박했다는 의견이 힘을 얻고 있다.
이에 반해 미분양 문제 등 대내외 악재들로 바닥을 논하기엔 이르다는 주장도 적지 않다.
이처럼 집값 바닥론에 대해 의견이 분분한 가운데 정부의 견해를 엿볼수 있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국토해양부는 3차 보금자리주택 3개 지구에 대한 사전예약 일정을 발표했다.
국토부는 이들 지구의 추정분양가가 3.3㎡당 850만원∼1,050만원으로 주변 시세의 75~90% 수준이라고 밝혔다.
지난 5월 2차 보금자리주택의 사전예약을 진행하면서 추정분양가를 최대 80%로 맞춘 것에 비하면 10% 오른 것이다.
이를 달리 표현하면 서울외곽이나 수도권 집값이 6개월만에 10% 정도 하락한 셈이다.
한 정보업체 자료에 따르면 3차 지구 추정분양가가 주변시세의 최대 96%로 나타났다.
이런 추세라면 내년 초 4차 지구 추정 분양가를 발표할 때 주변시세와 동일한 수준에 이를 전망이다.
국토부 공공주택건설단 관계자는 "보금자리 분양가가 주변시세와 맞춰질 때 정책목표를 달성한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보금자리주택을 주변시세의 15% 이상 저렴하게 공급하겠다고 공언한 바 있다.
한마디로 보금자리주택보다 더 낮은 아파트 분양가는 없는 것이다.
집값하락으로 보금자리주택 분양가가 주변시세와 맞춰지고 있다는 사실은 집값이 바닥에 근접했다는 것을 반증한다.
정확한 바닥 시기를 확언할 수 없지만 집값바닥론자들이 말하는 내년 상반기가 변곡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물론 집값은 경제논리에 의해 더 떨어질 수 있다.
하지만 신규 아파트값을 더이상 낮출 수 없을 때, 그 이하로 떨어졌을 때 정부는 간과할 수만은 없다.
집의 내재가치가 떨어져 부동산경제가 붕괴될 수 있기 때문에 어떤식으로든 부양책을 내놓기 마련이다.
현 정권의 주택정책 제1과제는 집값안정으로, 보금자리주택이 가장 유용한 도구로 쓰이고 있다.
이번 3차 보금자리 분양가 발표가 집값이 바닥에 근접했다는 정부의 시각을 눈치챌 수 있는 단서가 된 셈이다.
일반 수요자는 물론 업계와 시장 관계자들이 참고할만한 대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