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 소비생활에서 여가활동이 차지하는 비중이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16일 한국은행 등에 따르면 올해 들어 3분기까지 가계의 오락.문화 실질 소비액은 34조2천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가계의 실질 소비지출에서 8.74%를 차지하는 금액이다.
1970년대 2%대 안팎에 머무르던 오락.문화 소비 비중은 2000년대 초반 7%대, 2000년대 후반 8%대로 높아졌다.
금융위기를 겪고 난 지난해 8.57%로 조금 하락했지만 올해 들어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오락.취미.경기용품 판매액은 2005년 3조6천41억원에서 지난해 5조1천373억원으로 42.5% 증가했다.
한은 관계자는 "소득 수준이 높아지고 여가시간이 늘면서 관련 소비지출도 증가하는 추세"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선진국과 비교하면 우리나라의 여가 수준은 여전히 최하위권이다.
무엇보다 긴 노동시간이 여가 생활을 제약하는 주요 요인으로 꼽힌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따르면 오락.문화 지출이 국내총생산(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우리나라가 2007년 기준 3.7%로 OECD의 21개 주요 선진국 가운데 아일랜드(3.1%)와 더불어 꼴찌 수준이었다.
반면 연간 노동시간은 2008년 기준으로 방글라데시(2천301시간)보다도 긴 2천316시간으로 세계 1위였다.
현대경제연구원 이원형 연구위원은 "여가 수준을 높이는 관건인 노동시간 단축은 오랜 시간이 걸리는 사안"이라며 "문제는 상당수 국민이 아직 `여가를 활용하는 법''을 제대로 익히지 못했다는 점"이라고 지적했다.
영국 레가텀 연구원이 지난해 발표한 `번영 지수(prosperity index)''에 따르면 개인이 생활 방식을 선택할 수 있는 `개인의 자유'' 항목은 우리나라가 110개국 가운데 70위에 머물러 `경영 환경''(16위)이나 `경제적 기초''(21위) 등 물질적 풍요보다 한참 뒤처졌다.
삼성경제연구소 홍선영 선임연구원은 "여가는 삶의 질을 높이고 관련 제조업과 서비스업의 성장도 이끌 수 있으며, 국가의 발전 수준을 평가하는 중요한 척도"라고 강조했다.
16일 한국은행 등에 따르면 올해 들어 3분기까지 가계의 오락.문화 실질 소비액은 34조2천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가계의 실질 소비지출에서 8.74%를 차지하는 금액이다.
1970년대 2%대 안팎에 머무르던 오락.문화 소비 비중은 2000년대 초반 7%대, 2000년대 후반 8%대로 높아졌다.
금융위기를 겪고 난 지난해 8.57%로 조금 하락했지만 올해 들어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오락.취미.경기용품 판매액은 2005년 3조6천41억원에서 지난해 5조1천373억원으로 42.5% 증가했다.
한은 관계자는 "소득 수준이 높아지고 여가시간이 늘면서 관련 소비지출도 증가하는 추세"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선진국과 비교하면 우리나라의 여가 수준은 여전히 최하위권이다.
무엇보다 긴 노동시간이 여가 생활을 제약하는 주요 요인으로 꼽힌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따르면 오락.문화 지출이 국내총생산(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우리나라가 2007년 기준 3.7%로 OECD의 21개 주요 선진국 가운데 아일랜드(3.1%)와 더불어 꼴찌 수준이었다.
반면 연간 노동시간은 2008년 기준으로 방글라데시(2천301시간)보다도 긴 2천316시간으로 세계 1위였다.
현대경제연구원 이원형 연구위원은 "여가 수준을 높이는 관건인 노동시간 단축은 오랜 시간이 걸리는 사안"이라며 "문제는 상당수 국민이 아직 `여가를 활용하는 법''을 제대로 익히지 못했다는 점"이라고 지적했다.
영국 레가텀 연구원이 지난해 발표한 `번영 지수(prosperity index)''에 따르면 개인이 생활 방식을 선택할 수 있는 `개인의 자유'' 항목은 우리나라가 110개국 가운데 70위에 머물러 `경영 환경''(16위)이나 `경제적 기초''(21위) 등 물질적 풍요보다 한참 뒤처졌다.
삼성경제연구소 홍선영 선임연구원은 "여가는 삶의 질을 높이고 관련 제조업과 서비스업의 성장도 이끌 수 있으며, 국가의 발전 수준을 평가하는 중요한 척도"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