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공의 이해나 안전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측량인 공공측량에 드론이 본격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길이 열립니다.·
국토교통부는 3월까지 제도를 정비해, 올해부터 드론을 이용한 측량을 본격화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공공측량은 국가·지자체·공공기관이 발주하는 각종 도로, 철도, 공항, 수자원, 택지 개발 및 단지 조성 공사 등에 기본이 되는 측량 성과입니다.
그동안 항공 및 지상측량에 의한 방식으로 성과 심사를 받았으나, 드론은 공공측량 작업지침과 성과 심사 기준이 없어 적용할 수 없었습니다.
국토부 국토정보지리원은 드론영상 기반의 공간정보의 제작 방식 및 성과심사 제도 개선안을 마련해 3월까지 제·개정을 완료한다는 계획입니다.
드론을 이용한 측량 방법과 절차가 표준화되면, 각종 공간정보 제작과 지형·시설물 측량에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드론 촬영은 기존 항공촬영과 비교해 30%가량 비용 절감이 가능하고, 기상 영향이 적어 신속한 촬영·후처리가 가능해 전체 공정도 단축할 수 있습니다.
국토지리정보원은 연간 1,650억 원 규모에 달하는 국내 공공측량 시장 중 기존 항공·지상측량을 드론으로 대체 가능한 시장은 약 283억 원 규모로 추정했습니다.
국토지리정보원 관계자는 "공간정보산업과 드론 산업이 수요 확대와 기술 개발을 상호 견인하고 발전해 나갈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고 말했습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