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정부 추진 사업이지만 혁신성장 기여 클 것" 판단
드론 등 첨단기업 750개 육성…일자리도 4만개 창출 계획
지하철역 신설 등 지원…창조밸리 명칭은 개명 검토
[ 임도원/이해성 기자 ]
정부가 박근혜 정부에서 추진한 도시첨단산업단지인 경기 성남시 판교창조경제밸리(조감도)를 ‘혁신성장 메카’로 육성하기로 했다. 비록 전 정부에서 넘어온 프로젝트지만 새 정부가 곧 밑그림을 내놓을 혁신성장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란 기대에서다. 정부는 창조경제밸리를 통해 창업기업 등 첨단기술 분야 기업 750개를 육성하고 일자리 4만 개를 창출한다는 계획이다.
◆지하철역 신설 등 지원책 검토

기재부는 창조경제밸리 입주기업에 각종 금융지원과 주변 인프라 확충 등을 추진하고 있다. 도로망과 버스 노선 등을 개선해 인천국제공항에서는 1시간, 서울 강남에서는 20분대에 연결한다는 계획이다. 신분당선 ‘창조경제밸리역’을 신설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한국의 실리콘밸리’로 육성
창조경제밸리는 판교 일대 한국도로공사가 보유한 토지 21만㎡와 개발제한구역 해제 토지 22만㎡ 등 43㎡ 부지에 △기업지원허브(창업기업 입주) △기업성장지원센터(성장기업 입주) △벤처캠퍼스(선도 벤처기업의 창업기업 육성 공간) △혁신타운(미래 신산업 선도기업 입주) 등을 짓는 사업이다. 기업지원허브가 지난달 말 가장 먼저 완공돼 입주를 시작했다.
창조경제밸리는 국토교통부가 박근혜 정부 시절인 2015년 6월 경제장관회의에서 ‘판교창조경제밸리 마스터플랜’을 발표하면서 본격적으로 추진했다. 고 차관도 당시 미래창조과학부(현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민관합동 창조경제추진단장을 맡으며 업무에 관여했다. 이번 창조경제밸리 발전 방안도 고 차관이 주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창조경제밸리를 인근 판교 테크노밸리와 연계해 ‘한국의 실리콘밸리’로 육성한다는 계획이다. 테크노밸리(약 66만㎡)에는 870여 개 기업이 입주해 6만여 명이 근무하고 있다. 창조경제밸리와 테크노밸리를 합치면 1600여 개 기업에 10만여 명이 근무하는 대규모 첨단산업단지가 된다. 정부는 다만 창조경제밸리라는 명칭이 기존 정부의 정책에서 따온 것인 만큼 개명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임도원/이해성 기자 van7691@hankyung.com
기업의 환율관리 필수 아이템! 실시간 환율/금융서비스 한경Money
[ 무료 카카오톡 채팅방 ] 국내 최초, 카톡방 신청자수 32만명 돌파 < 업계 최대 카톡방 > --> 카톡방 입장하기!!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