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초신성 폭발 임박설 '베텔게우스 미스터리' 허블망원경이 풀어 2020-08-14 14:41:15
약 725광년 떨어진 곳에 있는 적색 초거성으로 항성 진화의 마지막 단계에 있는 베텔게우스는 420일 주기로 수축과 팽창을 반복하며 별빛이 변화해 왔지만 작년 말부터 올해 초 사이에 나타난 별빛 감소는 이를 훨씬 넘어서는 것이었다. 당시 별빛은 1830년대에 영국 천문학자 존 허셸이 처음 관측한 이후 가장 낮은 것으로...
[사이테크 플러스] "120억년 전에도 우리은하와 닮은 어린 은하 존재했다" 2020-08-13 06:00:07
연구팀 "중력렌즈 효과 이용, 120억 광년 밖 은하 정밀 관측 성공" (서울=연합뉴스) 이주영 기자 = 독일과 네덜란드 공동연구팀이 120억 광년 떨어진 곳에서 우리은하와 놀랄 만큼 비슷한 형태의 초기 우주 은하를 발견했다. 독일 막스플랑크 천체물리학연구소와 네덜란드 흐로닝언대학 캅테인천문연구소 연구팀은 13일...
별 사이 거리 재는 '우주 줄자', 새로운 '표준촛불' 후보 발견 2020-08-07 17:13:31
광년이 넘는 원거리 은하는 관측할 수 없어 크기가 140억 광년인 우주를 관찰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는 설명이다. 표준촛불은 우주의 팽창 속도가 점점 빨라지고 있다는 증거이기도 하다. 솔 펄머터, 브라이언 슈밋, 애덤 리스가 수십 개의 제1a형 초신성을 관찰해 우주 가속 팽창을 증명한 공로로 2011년 노벨물리학상을...
초신성 폭발이 인간 뼈 포함한 우주 칼슘 절반 형성 2020-08-07 15:53:48
형성 5천500만광년 밖 칼슘 방출형 초신성 X선 첫 확인 (서울=연합뉴스) 엄남석 기자 = 우주에 존재하는 칼슘의 절반은 별이 초신성으로 폭발하면서 형성돼 퍼져나간 것으로 확인됐다. 별이 생을 다하고 마지막 순간에 뱉어낸 칼슘이 지구와 같은 행성에도 퍼져 인간의 뼈와 이빨도 구성하게 됐다는 것이다. 칼슘을 대량...
전파망원경+측성 기술 외계행성 첫 관측, 제3의 방식 기대 2020-08-05 16:54:15
35광년 떨어진 곳에 있는 저온 적색왜성 'TVLM 513-46546'을 가까이서 도는 외계행성을 찾아낸 결과를 국제 학술지 '천문학 저널'(The Astronomical Journal)에 발표했다. 이 행성은 태양 질량의 10분의 1밖에 안 되는 적색왜성을 221일 주기로 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량은 목성의 38~46%로 약 30%...
[사이테크 플러스] "생명체서식 가능영역내 지구같은 행성 놀랄만큼 많을수도" 2020-08-03 09:20:12
39광년 떨어진 외계행성계 '트라피스트-1(Trappist-1)을 연구해온 케인 교수팀은 이곳의 행성 7개 중 3개가 생명체 서식 가능 영역에 있는 점에 착안, 별 주위의 생명체 서식 가능 영역에 행성이 몇 개까지 존재할 수 있는지 밝혀내는 연구에 착수했다. 연구팀은 다양한 크기의 행성들이 중심별을 도는 외계행성계...
[사이테크 플러스] "우리은하 끝자락서 20억년 전 파괴된 구상성단 별들 발견" 2020-07-31 09:55:24
30광년 정도의 크기에 별 수십만개가 공 형태로 모여있는 천체로 우리은하 주변에는 약 150개의 구상성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구상성단을 이루는 별들은 기존 별들이 초신성폭발 등으로 생을 마치고 남긴 잔해를 원료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수소와 헬륨 등 가벼운 구성 원소 외에 이전 세대 별에서 만들어진 무거운...
[사이테크 플러스] '태양형 별과 외계행성 2개' 외계행성계 직접 촬영 첫 성공 2020-07-22 21:00:00
300광년 떨어진 곳에 있는 태양과 비슷한 별 주위를 거대한 목성형 외계행성 2개가 돌고 있는 외계행성계를 직접 촬영하는 데 성공했다. 네덜란드 라이덴대학 등 국제 공동연구팀은 22일 학술지 '천체물리학저널 회보'(The Astrophysical Journal Letters)에서 유럽남방천문대(ESO) 초거대망원경(VLT)을 이용해...
'블랙홀 코로나' 실종사건 제1용의자는 조석력으로 파괴된 별 2020-07-18 13:34:18
약 2억7천500만 광년 떨어진 곳에 있는 활동은하핵(AGN) '1ES 1927+654'의 블랙홀 코로나를 관측한 결과를 학술지 '천체물리학 저널 회보'(Astrophysical Journal Letters)에 발표했다. 활동은하핵은 은하 중앙에 자리 잡은 초대질량블랙홀 중에서도 특히 밝은 것을 지칭한다. 태양의 1천900만배에 달하는...
중성자별 이중성계 관측해 우주 팽창속도 '고민' 푼다 2020-07-09 16:42:02
변광성을 기준으로 할 때(74㎞/s/Mpc·1Mpc=326만 광년)와 우주마이크로파배경복사(CMBR)을 이용해 구한 값(67.4㎞/s/Mpc)이 10% 가까이 차이가 나 천문학계의 고민거리가 돼왔다. 영국 이스트앵글리아 대학과 과학전문 매체 등에 따르면 이 대학 물리학과 로버트 퍼드먼 박사가 이끄는 국제 연구팀은 비대칭 질량을 가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