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몰릴 때는 더 일해야'…직장인 81% "유연근로제 확대 필요" 2020-12-23 12:00:18
근로시간 관리를 할 필요성이 상대적으로 적은 고소득 관리직 등에 대해 근로시간 규제를 적용하지 않는 제도로, 미국과 일본 등에서 활용하고 있다. 직장인 87.5%가 국내에서도 화이트칼라 이그젬션 도입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고소득 직장인 기준으로는 평균 소득 7천950만원이 제시됐다. 한편 직장인들은 주52시간제에...
특별격려금에 트롬 스타일러까지 주는 회사가 있다고? 2020-12-21 13:36:33
선정되기도 했다. 7.5시간 근무제, 선택적 근로시간제, 자율 출·퇴근 등 근무 환경 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는 점이 높이 평가받았다. 또 휴가제도, 자율워크숍, 대학원 학비 지원, 어학·취미활동 등 교육비 지급 등 복지가 좋은 회사로 알려져있다. 고운세상코스메틱은 오는 23일 종무식을 열고 연말까지 11일 동안...
中企 절반 "관공서 공휴일 유급 적용, 준비 안돼" 2020-12-17 17:45:44
‘근로일수 감소로 생산 차질 발생’(64.4%)을 가장 많이 꼽았다. ‘인건비 부담 증가’(40.7%), ‘인력 부족’(39%), ‘주 52시간제로 인한 근로시간 감소’(25.4%) 등이 뒤를 이었다. ‘근로자가 소득 보전을 위해 휴일근무를 원한다’는 응답도 20.3%에 달해 근로자 스스로 휴일근무를 택하는 경우도 적지 않은 것으로...
4차위 "3년간 해커톤 8차례·22건 의제…제도공백 추가논의" 2020-12-17 16:00:02
근로시간제│ └────┴────────────────────────────────┘ 4차위는 2017년부터 3년간 8차례 해커톤을 열어 총 22건의 의제를 논의했다. 이중 핀테크 활성화와 공인인증제도 폐지 등 10개 의제는 완료하고, 나머지 12개 의제는 합의사항 추진 중이다. 4차위는 "정부의 대책 마련에도...
중소기업 45% "'관공서 공휴일' 유급휴일 적용 준비 안돼" 2020-12-17 12:00:08
근로일수 감소로 생산 차질 발생'(이하 복수 응답)이 64.4%로 가장 많았다. 이어 '인건비 부담 증가'(40.7%), '인력 부족'(39%), '업종 특성상 기계를 계속 가동해야 함'(32.2%), '주52시간제로 인한 근로시간 감소'(25.4%) 등이 뒤따랐다. 근로자가 소득 보전을 위해 휴일 근무를...
中企 45% "관공서 공휴일 도입 준비 안돼" 2020-12-17 12:00:00
‘근로일수 감소로 생산차질 발생’(64.4%)을 주된 이유로 꼽혔고, 다음으로 ‘인건비 부담 증가’(40.7%), ‘인력부족’(39%), ‘업종 특성상 기계를 계속 가동해야함’(32.2%), ‘주52시간제로 인한 근로시간 감소’(25.4%) 등으로 나타났다. 특히, ‘근로자가 소득보전을 위해 휴일근무 원함’도 20.3%로 조사돼 근로자...
2022년부터 영아수당 월 30만원…출산 축하금 200만원 2020-12-15 11:44:27
따라 어린이집이나 시간제보육 등에 비용을 지불하면 된다. 출산시 200만원을 지급하는 `첫만남 꾸러미` 제도도 2022년에 도입한다. 지원금의 사용 용도에는 제한이 없다. 임신부에 지급되는 국민행복카드의 사용한도도 60만원에서 100만원으로 올린다. 출산 일시금과 국민행복카드를 합치면 의료비와 초기 육아비용으로...
[사설] 새로 만든 '기업인 징역형'만 62년…해도 너무한다 2020-12-14 17:46:45
근로자 부주의와 과실까지도 기업인 책임으로 모는 것은 헌법상 자기책임 원칙에 반하는 위헌적 과잉처벌이기도 하다. 기업인에 대해서만 ‘유죄추정 원칙’을 자락에 깔고 형사처벌을 남발하는 것은 해외에선 찾기 힘들다. 하지만 한국에선 20대 국회부터 잘못된 기류가 확산돼 근로기준법, 최저임금법, 화학물질관리법,...
美·日선 6개월刑 받을 일, 한국선 최대 7년 징역 2020-12-13 17:04:39
수위는 한국이 해외와 비교해서도 월등히 높다는 평가다. 근로시간제만 해도 일본은 규정을 위반하면 6개월 이하 징역 또는 30만엔(약 298만원) 이하 벌금에 처한다. 독일은 1만5000유로(약 1918만원) 이하 과태료를 부과한다. 고의로 위반해 근로자 건강 등에 해를 가한 경우에만 1년 이하 징역 또는 벌금에 처한다. 미...
수출금지에 비용 전가, 수백억 과세까지…쏟아지는 反기업법 2020-12-13 13:02:16
주52시간제가 꼽힌다. 중소기업계는 ‘인건비 폭탄’, ‘구인난’, ‘매출 감소’ 등을 우려해 1년 가량 유예 연장을 요청했지만 고용노동부는 이를 받아들이지 않고 예정대로 내년 1월부터 근로자 50~299인 기업에 주 52시간제를 적용키로 했다.범여권에서 밀어붙이는 중대재해기업처벌법은 인명사고 발생시 사업주에 대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