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식약처 "당뇨약 '메트포르민' 불순물 직접 조사 중" 2019-12-16 13:24:00
"당뇨약 '메트포르민' 불순물 직접 조사 중" 싱가포르 유통 중인 당뇨병 치료제서 NDMA 검출돼 회수 "싱가포르서 회수 조처된 약, 국내 수입되지 않아" (서울=연합뉴스) 김잔디 기자 =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싱가포르에서 유통 중인 당뇨병 치료제에서 발암 우려 물질이 검출된 것과 관련해 국내에서도 불순물 조사를...
"싱가포르서 당뇨약에 발암물질 나왔지만 조사 결과 나올 때까지 끊지 말아야" 2019-12-13 17:08:35
남아 있다. 싱가포르에서 발암 추정물질이 검출된 메트포르민은 당뇨병 환자 치료에 널리 쓰이는 성분이기 때문이다. 학회에 따르면 국내 메트포르민 함유 약제는 640개 품목에 이른다. 국내 당뇨병 환자 240만 명, 전체의 80%가 이 성분이 들어 있는 약을 복용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국내 유통되는 메트포르민에서 NDMA가...
당뇨병학회, 당뇨약 'NDMA' 우려에 "자의적 복용 중단 안돼" 2019-12-13 10:58:10
당뇨병학회, 당뇨약 'NDMA' 우려에 "자의적 복용 중단 안돼" 메트포르민 NDMA 사태 의견 발표…"식약처, 직접조사로 우려 해소해야" (서울=연합뉴스) 김잔디 기자 = 싱가포르에서 유통 중인 당뇨병 치료제에서 발암 우려 물질이 검출됐다는 소식 이후 국내 환자들 사이에서도 우려가 확산하자, 전문가 단체가...
싱가포르서 '발암우려물질' 당뇨약 회수…"국내 수입 안 돼" 2019-12-06 16:20:59
싱가포르서 '발암우려물질' 당뇨약 회수…"국내 수입 안 돼" 식약처, 합성 원료의약품 전체에 '불순물 조사' 지시 (서울=연합뉴스) 김잔디 기자 = 싱가포르에서 유통 중인 당뇨병 치료제에서 발암 우려 물질이 나와 현지 보건당국이 회수 조처를 내렸다. 국내에 수입된 제품은 아닌 것으로 확인됐다. 6일...
무심코 먹는 제산제·항생제…"장 내 세균총 구성까지 바꾼다" 2019-10-25 22:35:51
그 결과 18가지 약이 장 내 세균총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중에서도 장 내 세균총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약은 ▲프로톤 펌프 억제제(PPI: proton pump inhibitor) 계열의 제산제 ▲당뇨병 치료제인 메트포르민 ▲항생제 ▲완하제(laxative)였다. PPI 제산제 복용자는 상부 위장관 박테리아들이,...
"흔히 먹는 약, 장(腸) 내 세균총 바꾼다" 2019-10-25 10:55:15
그 결과 18가지 약이 장 내 세균총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중에서도 장 내 세균총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약은 ▲프로톤 펌프 억제제(PPI: proton pump inhibitor) 계열의 제산제 ▲당뇨병 치료제인 메트포르민 ▲항생제 ▲완하제(laxative)였다. PPI 제산제 복용자는 상부 위장관 박테리아들이,...
美 FDA, 당뇨약 파시가 심부전 치료제로 추가 승인 2019-10-22 10:56:22
이상이 생겨 체내의 모든 기관과 조직에 대한 혈액 공급이 부족해지는 질환으로 당뇨합병증으로 흔히 발생한다. 파시가는 특히 심부전의 거의 절반을 차지하는 '좌심실 수축기능 저하 심부전(HFrEF: heart failure with reduced ejection fraction)의 진행을 억제하는 효과가 큰 것으로 임상시험 결과 밝혀졌다. 2형...
당뇨약 메트포르민, 다발성 경화증에 특효(?) 2019-10-07 09:19:08
당뇨약 메트포르민, 다발성 경화증에 특효(?) (서울=연합뉴스) 한성간 기자 = 오래전부터 2형(성인) 당뇨병 1차 치료제로 널리 쓰이고 있는 메트포르민(metformin)이 난치성 중추 신경계 질환인 다발성 경화증(MS: multiple sclerosis)에 특효가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다발성 경화증은 면역체계가 뇌와 척수 등...
美 FDA, 경구용 세마글루티드(당뇨약) 승인 2019-09-23 10:53:42
또 당뇨성 케톤산증이 있는 당뇨병 환자에게도 권장되지 않는다. 이 밖에 저혈당, 신장기능 장애, 식욕 저하, 소화 장애, 변비 등의 부작용이 있다고 FDA는 밝혔다. 2형 당뇨병의 1차 치료제는 구세대 약인 메트포르민이지만 최근에는 SGLT-2 억제제, DPP-4, GLP-1 수용체 작용제 등 신세대 치료제가 개발돼 메트포르민...
"당뇨약 SGLT2 억제제, 심부전 위험↓" 2019-08-30 10:47:19
북유럽의 스칸디나비아 지역에서는 SGLT-2 억제제 계열의 약 중 하나인 다파글리플로진이 주로 처방되고 있다. 2형 당뇨병의 1차 치료제는 구세대 약인 메트포르민이지만 최근에는 SGLT-2 억제제, DPP-4, 글루카곤 유사 펩티드-1(GLP-1) 수용체 길항제 등 신세대 치료제가 개발돼 메트포르민 다음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