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빗나간 맬서스의 인구론…그는 기술진보를 예측못했다 2020-11-23 09:01:07
맬서스의 인구 종말론: 맬서스의 《인구론》이 1789년 출판되자 인류는 미래를 걱정하기 시작했다. 그가 주장한 ‘인구 종말론’은 당대 유럽 지식계와 정부들을 강타했고, 20세기 중후반까지도 지구촌을 괴롭혔다. 인구가 급증한다고 본 맬서스의 관찰이 전적으로 틀린 것만은 아니다. 인구는 실제로 크게 증가했다. 세계...
[4차 산업혁명 이야기] 디지털 전환은 탈물질화의 새로운 동력원 2020-11-09 09:00:05
고갈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맬서스의 주장이 다시 생명력을 얻는 결론이었다. 탈물질화와 그린뉴딜물론 이번에도 예측은 빗나간 듯 보인다. 예측이 빗나간 원인에 대해 환경과학자 제시 오스벨은 1인당 자원 소비량이 감소하고 있다는 점을 거론한다. 경제의 가장 중요한 기본 자원들인 철강, 구리, 비료, 목재, 종이 등의...
[천자 칼럼] 속수무책 저출산 2020-05-28 18:08:08
음모론에서도 맬서스의 그림자가 어른거린다. 이런저런 가설이 많지만 급격한 출산율 저하가 복지·재정 위기, 생산력 감소, 지방 소멸 같은 치명적 결과를 부를 것이라는 점은 부인하기 힘들다. 한국판 뉴딜뿐 아니라 ‘출산율 뉴딜’ 정책도 필요한 이유다. 그런데 정부는 무덤덤하다. 저출산 바이러스에 면역이라도 된...
맬서스 "인구가 식량보다 빨리 증가해서 지구는 종말"…기술발전으로 생산성 급증…선진국마다 인구 줄어 고민 2019-07-08 09:00:28
걸로 판명됐다.맬서스와 로마클럽의 예상은 빗나갔지만 그들의 주장은 지구 반대편에 있는 우리나라에도 제법 큰 영향을 미쳤다. ‘덮어놓고 낳다 보면 거지꼴을 못 면한다’고 부르짖었던 1960~1980년대의 산아 제한 정책이 그렇다. 우리의 가족계획 정책은 전 세계적으로도 유례없는 성공을 거뒀다. 어찌 보면...
禮를 통해 지방까지 미친 왕권… 유교사상으로 통합한 신분사회 2018-09-07 18:38:14
1인당 소득수준이 개선됐는지는 의심스러운 ‘맬서스의 시대’였다.이씨 왕가의 내력‘팍스 몽골리카’의 시대에 만주의 대부분은 웃치긴 왕조의 지배하에 있었다. 웃치긴은 칭기즈칸의 막냇동생이다. 웃치긴의 판도에는 다수의 고려인이 여진족과 섞여 살았다. 이성계의 가문도 그러했다. 1255년...
[천자 칼럼] 과거연표, 미래연표 2018-02-11 18:01:00
인구이론의 출발점으로 평가받는 맬서스의 ‘인구론’을 뛰어넘어 이때부터 인구의 규모·구조·변동이 통계적 분석과 연계됐다. 그러면서 인구현상과 인구문제를 다루는 실용 학문으로 자리잡았다.현직 언론인이 인구학 관점에서 쓴 《미래연표》(가와이 마사시 지음, 한경bp)가 저출산 고령사회...
[책마을] "인구절벽이 경제 망친다?… 기업들에는 혁신의 기회" 2017-12-28 19:47:20
간의 관계 등 실증적 데이터를 통해 인구가 경제성장과 무관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애덤 스미스부터 맬서스, 리카도, 케인스, 슘페터 등 경제학자들의 인구론, 인공지능(ai)과 기계화에 따른 일자리 감소 우려, 일본 고도성장 요인 등의 주제를 면밀하게 다루며 그의 논지를 뒷받침한다.저자에 따르면 증가하는 사회보장...
[시론] '사람 중심 경제'가 성공하려면 2017-12-20 18:05:59
맬서스의 이름을 따서 이 빈곤의 함정을 ‘맬서스 함정’이라 부르는 것이다.그럼 자본주의 경제는 무엇이 다른가. 단순화하면, 자본주의 경제는 인간이 먹고사는 문제를 농토가 아니라 기업이 책임지는 경제다. 서구의 농경사회 말기에서 산업혁명 초기에 걸쳐 등장하기 시작한 주식회사라는 사회적 기술인...
[Cover Story] '에너지 고갈론'은 기술 발전을 생각못한 오류…석탄이 석유에 밀렸듯 석유도 퇴장할 수 있어 2017-05-08 09:01:51
에너지 고갈론이 빗나간 원인을 공부해보자. [ 신동열 기자 ] 정점론과 고갈론은 역사적으로 빗나간 대표적 이론이다. 특히 식량과 에너지가 그렇다. 맬서스는 인구는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는 데 비해 식량은 산술평균적으로 늘어나는 데 그쳐 인류의 재앙이 불가피하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그는 기술의 진화가 식량을...
[Focus] 한국 남자 평균 키 173㎝…조선시대보다 12㎝나 커졌어요! 2017-03-31 17:10:07
《맬서스, 산업혁명, 그리고 이해할 수 없는 신세계》라는 책에서 인종 간의 신장 차이를 일으키는 유전적 결정인자는 피그미족 정도를 제외하곤 존재하지 않는다고 했다. 대신 어떤 음식을 먹는지, 즉 식생활이 신장에 영향을 미친다고 봤다. 산업화를 거치기 전 한국과 일본의 남자는 미국 남자보다 12~18㎝나 작았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