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하버드대, 주름 펴는 보톡스로 맞춤형 치료 '프로테아제' 개발 2021-02-25 18:00:36
성공했다. 특정 단백질만 식별해 표적으로 삼는 이 맞춤형 프로테아제는,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의 치명적 면역 반응으로 알려진 '사이토카인 폭풍'(cytokine storm)을 가라앉히는 데도 효과가 있을 거로 기대된다. 프로테아제(protease)는 단백질과 펩타이드 결합을 가수분해하는 효소를 말한다....
바이오이즈, 신개념 프로탁 기술 `m-PROTAC` 특허 출원 2021-02-16 10:12:52
단백질 분해 기전을 이용해 질병을 야기하는 특정 단백질을 제거하는 신개념의 플랫폼 기술이다. 기존의 저분자 약물로는 표적하기 어려웠던 85% 이상의 질병 유발 단백질(undruggable target)을 표적할 수 있으며, 기존 약물의 내성 문제 극복도 가능하다는 측면에서 전세계적으로 큰 주목을 받고 있다. 표적 세포 또는...
보로노이와 손잡은 HK이노엔, 내년 글로벌 항암신약 임상 도전 2021-02-15 17:21:12
설명했다. 특정 유전자만 선택 공격하는 덕분에 안전성도 확인됐다고 덧붙였다. HK이노엔은 위식도역류질환 신약 ‘케이캡정’을 자체 개발한 역량을 토대로 20여 개 신약을 개발 중이다. 주요 연구분야는 암과 자가면역질환, 간질환 등이다. 2015년 설립된 보로노이는 인공지능(AI)을 활용해 선택적 인산화효소 저해제를...
이노엔, 비임상 단계 항암물질 도입…표적항암제 개발 착수 2021-02-15 10:00:22
항암신약 물질 'VRN061782'는 선택적 RET 인산화효소 저해제 계열이다. 체내 신호전달 물질인 인산화효소 중 RET 유전자가 돌연변이를 일으켰거나 다른 유전자와 결합해 암이 생긴 경우 이 유전자의 활동을 억제하는 원리다. 이노엔은 VRN061782을 RET 유전자 융합 또는 변이를 가진 암에 대해 위치에 상관없이 체...
이노엔, 보로노이서 '선택적 RET 저해제' 도입…항암신약 개발 2021-02-15 09:44:14
아니라 다른 유전자도 공격하는 비선택적 인산화효소 치료제가 쓰였다고 회사 측은 전했다. 그러나 낮은 약물 반응률과 부작용 문제 때문에 일라이 릴리의 셀퍼카티닙, 로슈의 프랄세티닙처럼 RET유전자 활동만 억제하는 선택적 RET 저해제 계열의 항암제가 등장했다. VRN061782는 비임상 동물시험에서 기존에 나온 동일...
[생글기자 코너] 아미노산을 이해하고 활용하길 2021-02-08 09:00:13
전달 반응에 의해 합성된다. DNA는 아미노산을 특정 위치에 배열해 단백질을 만들게 한다. 아미노산은 펩티드 결합에 의해 다양한 단백질을 만들며, 단백질 대부분은 100개 이상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다. 우리 몸은 1초에 50만 개 정도의 세포가 죽고 사는데, 이때 단백질(아미노산)이 충분하지 않으면 세포 결손이 생...
에이즈 바이러스, 완전 정복의 길 열렸다 2021-02-05 18:36:23
프로테아제(단백질 분해 효소)가 꼭 필요하다. 그런데 인체 면역세포가 이 효소의 활성화를 감지한다는 게 이번에 확인됐다. 바이러스를 직접 감지하지는 못하지만, 그 대신 바이러스의 움직임을 추적한다고 한다. 연구팀은 면역세포 안에서 경보처럼 작용하는 CARD8이라는 염증 조절복합체도 찾아냈다. CARD8은 활성화된...
식약처, 코백스-화이자 코로나19 백신 특례수입 승인…"이 달 중순 수입" 2021-02-03 17:19:39
사례가 있었다. 특례수입 승인은 특정 물량의 수입·통관에 대해 승인하는 것으로 수입시마다 건별로 승인한다. 품목허가와는 별개이므로 기존 한국화이자가 신청한 코로나19 백신의 품목허가는 예정대로 심사를 진행하고 있다. 코백스를 통해 처음으로 국내 도입돼 접종될 백신은 화이자 코로나19 백신으로 mRNA백신...
다양한 세포 사멸 경로 찾아내…차세대 항암제 새 길 열어 2021-01-26 15:45:17
다시 돌려 놓는 효소가 존재해 세포의 사멸을 막는다. 암세포에 이 효소의 활성을 억제하는 약물을 처리하면 페롭토시스가 진행돼 암세포 사멸을 유도할 수 있다. 항암제 내성암 등 다양한 난치암에 대한 효과적인 세포사멸 경로로 주목받고 있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대사제어연구팀은 세브란스병원 허용민 교수팀 및...
강북삼성병원 "유전자 따라 마이크로마이옴 구성 달라져" 2021-01-19 17:29:52
11개는 미생물 존재 여부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확인했다. 유당(락토스)을 분해하는 효소를 만드는 락타아제(Lactase·LCT) 유전자 변이는 유당을 분해 할 수 있는 비피도박테리움(Bifidobacterium) 양과 강한 연관성이 있었다. 푸코실전달효소(Fucosyl transferase·FUT2) 유전자 변이는 루미노코쿠스 토크(Ruminococc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