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中작년 수출 7.1% 증가…"사상 최대 기록·무역흑자 1천400조원" 2025-01-13 12:02:46
수입은 2.3%↑…"트럼프 취임 앞두고 마지막 고점일 수도" (서울=연합뉴스) 권숙희 기자 = 중국의 작년 전체 수출이 7.1% 증가해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고 블룸버그통신과 중국 관영 신화통신 등이 13일 보도했다. 중국 세관 당국인 해관총서는 중국의 지난해 연간 수출액이 25조5천억위안(약 5천101조원)을 기록, 전년 대비...
"점심 한 끼 때우기도 무섭네"…구내식당 찾은 직장인들 '한숨' 2025-01-13 07:19:56
소비자물가지수(2.3%)보다 높다. 외식 물가지수는 2022년 7.7%, 2023년 6% 각각 오른 데 이어 3년 연속 3% 이상 상승세를 보였고 2012년 이래 12년째 전체 소비자물가지수를 웃돌았다. 주요 외식 메뉴별 가격 상승률을 보면 도시락 가격이 5.9%로 상승 폭이 가장 컸다. 이어 떡볶이 5.8%, 햄버거 5.4%, 김밥 5.3% 등이었다....
'최후의 보루' 삼각김밥 너마저…도넘은 런치플레이션 2025-01-13 07:18:43
상승했다. 상승폭은 전년(6.0%)의 절반 수준이지만, 전체 소비자물가지수(2.3%)보다는 높다. 외식 물가지수는 2022년 7.7%, 2023년 6.0% 각각 올랐다. 3년 연속 3% 이상 상승세를 보인 것이다. 또 2012년 이래 12년째 전체 소비자물가지수를 웃돌았다. 가격 상승률을 보면 서민들에게 가장 만만하던 도시락 가격이 5.9%로...
구내식당부터 편도까지 올랐다…'외식·런치플레이션 심화' 2025-01-13 06:31:01
상승폭은 전년(6.0%)의 절반 수준으로 낮아졌지만, 전체 소비자물가지수(2.3%)보다 높은 것이다. 외식 물가지수는 2022년 7.7%, 2023년 6.0% 각각 오른 데 이어 3년 연속 3% 이상 상승세를 보였고 2012년 이래 12년째 전체 소비자물가지수를 웃돌았다. 주요 외식 메뉴별 가격 상승률을 보면 도시락 가격이 5.9%로 상승...
산업도시 어떻게 살릴까…창원서 펼쳐지는 LG의 실험 2025-01-13 05:00:01
28% 증가했다. 2021년 3.9%였던 실업률도 2023년 2.3%로 하락했다. 정부도 LG식 성장 모델에 주목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해 LG전자를 비롯해 현대차, 포스코 등 119개 기업과 손 잡고 전국 제조 현장을 스마트화해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AI자율제조 선도 프로젝트’에 착수했다. 민·관 합쳐 3조7000억원이...
'소매판매 절벽' 21년만에 최악…車·옷·먹거리 전방위 감소(종합) 2025-01-12 18:19:46
│ 2013 │ 0.9 │ 0.9 │2.3 │0.1 │ ├───────┼───────┼───────┼──────┼──────┤ │ 2012 │ 2.5 │ 4.9 │-0.1│2.5 │ ├───────┼───────┼───────┼──────┼──────┤ │ 2011 │ 4.7 │ 11.2 │4.1 │2.0 │...
"美 국채금리, 年 5%대로 뛰면 증시 조정올 수도" 2025-01-12 18:18:50
잠재 성장률은 약 1.8%로 추정됐지만 경제학자들은 2030년 3%에 이를 가능성을 거론한다”고 전했다. 다만 올해는 미국 성장률이 작년보다 낮아질 것으로 전망했다. 그는 “지난해 미국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은 2.8%로 추정된다”며 “올해는 아마 2.3~2.4%가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뉴욕=박신영 특파원 nyusos@hankyung.com...
국내 채권형 펀드는 장·단기 모두 고공행진 2025-01-12 18:05:20
기준금리를 연 3.5%에서 연 3.25%로 내렸고, 11월에는 연 3.0%로 추가 인하했다. 이에 따라 1년 만기, 30년 만기 국채 금리는 지난해 고점부터 최근까지 각각 0.860%포인트, 0.829%포인트 떨어졌다. 미국과 달리 국내 소비자물가상승률(2.3%)도 안정적이어서 시장 금리가 하락하는 데 변수가 없었다. 양병훈 기자 hun@hankyung.com...
쌓여가는 구조적인 인플레이션 상승 압력 2025-01-12 10:25:55
말 2.3% 수준이다. 여전히 물가안정 목표 2.0%보다 높은 상태에서 기준금리 인하가 시작된 셈이다. 공급망 차질은 해소되었지만 구조적인 인플레이션 상승 압력은 쌓여가고 있다. 중장기적으로 팬데믹 이전보다 한 단계 높아진 수준에서 균형점이 형성될 것으로 전망한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가 인플레이션 압력을...
내수 전망 '먹구름'…정부 "예산 70% 상반기 조기집행" 2025-01-12 09:51:54
것으로 내다봤다. 작년 하반기 경제정책방향 당시 제시한 2.3%보다 크게 낮아졌다. 정치적 불안이 가중되며 소비 심리가 위축됐다는 분석이 나온다. 한국개발연구원(KDI)에 따르면 12·3 비상계엄 이후 소비자심리지수는 단 한 달 만에 12.3포인트 급락했다. 2016년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정국 당시 소비자심리지수는 3개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