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면역세포에 산소 공급해 '악성 뇌종양' 잡는다 2021-02-16 17:14:55
연구진이 뇌종양을 효과적으로 치료할 후보물질의 가능성을 밝혀냈다. 한국연구재단은 이흥규 KAIST 교수 연구팀이 면역세포인 감마델타 T 세포의 활력 저하 현상은 뇌종양 세포가 주변 산소를 빠르게 먹어 치우기 때문에 발생한다는 점을 밝혀냈다고 16일 밝혔다. 이번 연구에 따라 뇌종양 세포에 산소 유입을 차단하는...
레고처럼 조립하는 단백질로 간염·코로나 1시간 안에 진단 2021-02-05 17:39:36
게 대표적이다. 최근 국내 연구진이 국제 공동연구를 통해 질병 진단, 치료 경과 추적, 병원 미생물 감지 등의 역할을 하는 인공 단백질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KAIST는 오병하 생명과학과 교수가 미국 워싱턴주립대와 고감도의 단백질 센서 플랫폼을 개발했다고 5일 밝혔다. 연구 결과는 종합과학 분야 국제학술지...
한화솔루션, 수소 분야 글로벌 석학 정훈택 박사 영입 2021-02-01 10:24:28
영입했다고 1일 발표했다. 정 신임 센터장은 KAIST에서 재료과학 석·박사 학위를 받고 일본 도쿄공업대의 박사 후 연구원(포스닥) 과정을 거쳐 미국 LANL에서 14년 넘게 수전해·연료전지의 핵심 소재와 시스템 전반을 연구해 왔다. LANL은 국가 안보, 우주항공, 재생에너지, 슈퍼컴퓨터 등을 연구하는 세계 최대 연구소...
한화솔루션, 수소 분야 글로벌 석학 정훈택 박사 영입 2021-02-01 09:47:36
정 신임 센터장은 카이스트(KAIST)에서 재료과학 석·박사 학위를 받고 일본 도쿄공업대의 박사 후 연구원(포스닥) 과정을 거쳐 미국 로스앨러모스 국립연구소(LANL·Los Alamos National Laboratory)에서 14년 넘게 수전해·연료전지의 핵심 소재와 시스템 전반을 연구해왔다. LANL은 국가 안보, 우주항공, 재생에너지,...
올빼미족, 암 발생 확률 높아진다고? 2021-01-29 16:52:09
김재경 KAIST 교수팀은 2016년 암 발생을 막는 p53 단백질량이 24시간 주기로 변한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김 교수팀은 미분방정식을 이용한 수학 모델을 통해 p53이 ‘시계 단백질’인 PER2와 연관이 있다는 사실을 밝혔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PER2는 p53을 세포핵 안으로 이동시켜 세포의 이상증식을 막는다. 암...
디어플랜트, 반려식물과 소통하는 플리티 베타 서비스 론칭... 상반기 출시 2021-01-29 10:29:53
KAIST 소속 20대 젊은 청년들이 모여 출범한 디어플랜트(대표 김정혜)에서 반려 식물과 소통하는 플리티 베타 서비스를 론칭한다고 밝혔다. 가족의 구성원으로 강아지나 고양이 같은 반려동물을 키우는 사람들이 많은 것처럼, 최근에는 난초, 스투키, 분재 등의 식물을 반려식물로 키우는 이들도 적지 않다. 식물이...
급부상한 우주항공 혁신기업 총정리…ARKX 편입 후보는? [허란의 해외주식2.0] 2021-01-25 07:01:01
주력해온 한국항공우주는 지난 18일 KAIST와 소형위성 분야 연구개발 및 사업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맺었습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도 자주포, 장갑차 제조가 주요 매출원이지만 로켓 엔진 사업을 꾸준히 육성하고 있는데요. 지난 13일엔 쎄트렉아이 최대주주로 올라서면서 인공위성 사업도 본격화했습니다. 쎄트렉아이는...
[장영재의 산업지능] MIT의 모토는 왜 '머리와 손'일까? 2021-01-24 18:17:04
지난 5일 KAIST의 BK21 첨단 디지털 제조 인재양성 사업단과 한국폴리텍대 간 교육협력 양해각서(MOU) 체결 행사가 열렸다. KAIST는 최첨단 과학기술을 선도할 공학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하는 기관이며, 한국폴리텍은 전국 35개 캠퍼스를 거느린 현장 기술 인력 양성을 목표로 한 기관이다. 두 기관이 상호 협력을...
활용도 높아지는 ESS, 發火가 고민…불 안 나고 수명 긴 '흐름전지' 주목 2021-01-22 17:27:26
대용량 촉매 반응기를 통해 전량 해외에 의존하던 바나듐 전해액을 국산화할 수 있게 됐다”며 “실험실 규모로 가능성을 확인한 원천기술을 대량생산이 가능한 수준으로 실증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의 지원으로 KAIST, 연세대, 이에스와 공동으로 이뤄졌다. 최한종 기자...
잡음 쏙 빼주는 통신기술로 치매·파킨슨병 등 조기진단 2021-01-15 17:33:22
국내 연구진이 신경 질환을 빠르게 진단할 수 있는 신기술을 개발했다. KAIST는 정기훈 바이오및뇌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신경 질환 조기 진단에 쓰이는 디지털 코드 라만 분광 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고 15일 발표했다. 극저농도의 신경전달물질을 빠르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면 신경 질환의 조기 진단율이 크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