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뉴젠스·KT MOS 북부에 28㎓ 대역 이음5G 주파수 할당 2023-09-25 12:00:22
뉴젠스·KT MOS 북부에 28㎓ 대역 이음5G 주파수 할당 (서울=연합뉴스) 임은진 기자 =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뉴젠스와 KT[030200] MOS 북부에 28㎓ 대역 이음 5G 주파수를 할당했다고 25일 밝혔다. 뉴젠스는 할당된 주파수를 토대로 대전 대덕대학교 내 군사훈련 체험관과 경기도 과천 연구개발 검증센터 성능 시험장에...
추석 연휴에 휴대전화 안 끊기게…통신 3사 집중관리 2023-09-25 11:53:53
주요 관광지, 숙박시설, 번화가를 중심으로 5G와 LTE 기지국 용량도 증설했다. 특히, 추석 당일 전국 데이터 사용량이 평시보다 24% 증가해 최고점에 달할 것으로 보고 사전 품질점검과 서비스 최적화 작업을 마쳤다고 덧붙였다 이와 함께, 국지적 데이터 통신량 증가가 예상되는 고속도로 상습 정체 구간 이동통신 품질과...
'바다 위 공중전화' 24시간 지킨다 2023-09-25 09:00:04
화성시 KT 화성 송신소에서 열린 미디어 브리핑에서 선박 무선통신을 이같이 소개했다. 통신업계에서는 선박 무선통신을 흔히 '바다 위 공중전화'로 비유하곤 한다. 단파와 중파, 초단파 무선주파수를 이용해 연근해는 물론, 원양에 나가 있는 선박에도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기술이 발달하면서 위성...
"휴대전화 요금 연체자 10명 중 4명은 'MZ세대'" 2023-09-21 06:11:58
55억6천600만원으로 뒤를 이었고, 40대(49억2천400만 원), 50대(39억4천600만 원), 60대 이상(35억4천200만 원) 순이었다. 특히, 20대·30대 휴대전화 요금 연체·미납 건수(8만5천790건)가 전체의 42.2%에 달했다. 연체·미납액도 115억6천200만 원으로 전체의 46.4%를 차지했다. 이 의원은 통신 3사가 가계통신비...
"휴대전화 요금 연체자 10명 중 4명은 2030" 2023-09-21 06:00:10
5억6천600만원으로 뒤를 이었고, 40대(49억2천400만 원), 50대(39억4천600만 원), 60대 이상(35억4천200만 원) 순이었다. 특히, 20대·30대 휴대전화 요금 연체·미납 건수(8만5천790건)가 전체의 42.2%에 달했다. 연체·미납액도 115억6천200만 원으로 전체의 46.4%를 차지했다. 이 의원은 통신 3사가 가계통신비 부담을...
KT 김영섭 "통신사, 디지털 생태계 주도권 확보해야" 2023-09-07 14:07:18
기업에게 내어줬지만, 5G와 6G 등 차세대 통신을 기반으로 이뤄질 차세대 ICT 혁신은 통신사업자들이 중심이 돼 일어나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대표는 "클라우드, AI(인공지능), 자율주행 등 빅테크 기업들이 주도하는 영역에서 대등한 IT 역량을 축적하고, 아직 초기 단계인 스마트시티, 메타버스, 디지털 헬스케어,...
'빈살만 금고지기' 방한…KT 초거대AI 청사진 [이슈투데이] 2023-09-07 08:46:21
향후 KT의 경영 전략을 설명할 방침입니다. 전날(5일) 김 대표가 세계 최고 수준의 인공지능 연구기관인 캐나다 벡터 연구소와 초거대 AI분야의 협력 방안을 논의한 만큼, 오늘 김 대표의 연설에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현재 양사는 AI가 최적의 결과물을 내놓을 수 있게 명령어를 만드는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아이폰이 '공짜'라니…신제품 발표 앞두고 '파격 지원금' 2023-09-06 20:00:04
아이폰13 미니(128G)의 공시지원금을 기존 45만원에서 최고 67만원으로 인상했다. 통상 최대 50만원 전후로 책정되는 휴대폰 공시지원금을 고려하면 파격적 금액이다. SK텔레콤과 KT의 지원금은 각각 46만2000원, 45만원 수준이다. LG유플러스 공시지원금 인상으로 2021년 10월 국내 출시된 아이폰13 미니의 실구매가는...
"어쩐지 안 터지더라"…LTE 품질 미흡했던 곳들의 공통점 2023-09-06 12:00:09
제외)의 품질이 개선됐다고 6일 발표했다. 지난해 품질평가 당시 SK텔레콤은 8개소(5G 2개소, LTE 6개소), KT는 27개소(5G 12개소, LTE 15개소), LG유플러스는 59개소(5G 9개소, LTE 50개소)에서 미흡 판정을 받았다. SK텔레콤과 KT는 품질 미흡 지역을 전부 개선했지만, LG유플러스는 LTE 서비스 5개소에서 미개선지역이...
SKT·KT 통신 품질 100% 개선…LGU+ 일부 '미개선' 2023-09-06 12:00:00
품질 미흡지역(구간) 79개소에 대해 품질 개선 여부를 재점검한 결과, 5G는 모든 곳에서, LTE는 54개소에서 품질이 개선되었다고 6일 밝혔다. 5G 서비스는 품질 미흡지역(구간)은 20개소였으나 전체 품질이 모두 개선됐다. 사업자별로 보면, ‘22년 확인된 품질 미흡지역(구간)은 SKT는 2개소, KT는 12개소, LGU+는 9개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