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중수 "신흥국 긴축적인 통화정책 해야 할 수도 "

입력 2013-06-26 14:00  

김중수 한국은행 총재가 미국의 양적완화 축소로 신흥국이 긴축적인 통화정책을 펴야 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김 총재는 26일 서울 롯데호텔에서 열린 'SED(Society for Economic Dynamics)사전 콘퍼런스'에 기조연설자로 나서 "자본시장을 개방한 신흥국은 글로벌 금융시장의 불확실성이 성장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이 더욱 클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김 총재는 "글로벌 금융시장에 확률 분포조차 알 수 없는 불확실성이 지속하고있다"며 "이런 불확실성은 세계적인 금리 인상과 더불어 경제성장에 큰 부담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신흥 시장국은 글로벌 금리 상승으로 인한 자본유출 및 환율변동 압력에대응해 긴축적 통화정책을 시행해야만 하는 상황에 처할 수 있다"며 "이러한 과정이현실화하면 경제회복은 지연되고 성장은 멈추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는 "선례가 드물기 때문에 비전통적 통화정책의 정상화가 어떤 속도와 형태로이뤄질지는 예측하기 매우 어렵다"며 "미국이 1930~1940년대 제로에 가까운 금리에서 벗어난 경험 등 과거 사례를 참조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 총재는 통화정책, 거시정책과 관련한 국제공조가 미흡한 상황이라며 국가 간협력을 강화해야 한다는 주장도 폈다.

그는 "국가 간 정책공조 노력이 없다면 세계경제는 앞으로 국지적인 균형만을추구하는 것이 지배적인 행태가 될 것"이라며 "이 과정에서 신흥시장국이 성장동력을 잃는다면 선진국에도 의도하지 않은 부정적 효과를 초래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김 총재는 이날 콘퍼런스에서 로버트 루카스 시카고대학 교수, 에드워드 프레스콧 아리조나 주립대 교수 등 노벨경제학상 수상자들과 함께 '성장부진과 정책'을주제로 토론도 했다.

SED는 미국 경제학계의 석학들을 중심으로 1989년 조직한 거시ㆍ금융 분야의 학회로, 올해 연례 학술대회를 27∼29일 연세대에서 연다. SED의 연례 학술대회가 아시아권에서 열리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banghd@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