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은행, 올해 신규채용 2배로 늘린다

입력 2015-01-20 06:07  

400명 이상 채용… 은행권 최다 규모다른 은행들 "인건비 부담에 채용여력 없어"

기업은행[024110]이 올해 신규채용 규모를 지난해의 두 배로 늘리기로 했다. 사상 최악의 청년실업에 시달리는 대졸구직자들에게는 반가운 소식이다.

반면, 다른 은행들의 채용 규모는 지난해와 비슷하거나 줄어들 전망이다. 뒤로미루기만 한 구조조정과 갈수록 늘어나는 인건비 부담 탓이다.

권선주 기업은행장은 20일 연합뉴스와의 신년 인터뷰에서 "올해 신입사원 채용규모를 지난해 220명보다 훨씬 늘린 400명 이상으로 계획하고 있다"며 "우리 경제의가장 큰 과제가 일자리 창출인데, 기업은행이 작은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고 밝혔다.

권 행장은 "기본적으로는 기업은행의 인력 수급계획을 바탕으로 신규채용 규모를 정하지만, 청년들이 워낙 어려운 처지에 있는 것도 감안해야 하지 않겠느냐"고말했다.

기업은행의 올해 채용 규모는 국민은행이나 우리은행[000030] 등 '덩치'가 훨씬큰 다른 은행에 비해 훨씬 많다.

직원 수가 2만2천명에 육박하는 국민은행은 지난해 290명을 채용했으며, 1만5천여명인 우리은행은 260명을 뽑았다. 기업은행의 직원 수는 1만3천여명이다.

덩치가 작은 기업은행이 더 많은 인원을 뽑을 수 있는 배경은 바로 인건비 부담이 적다는 데 있다.

권 행장은 "기업은행의 인건비 부담은 상당히 적다고 할 수 있으며, 인원도 약간은 부족한 상태"라며 "생산성으로 따지자면 우리가 시중은행 중에서 생산성이 상당히 높은 축에 속한다고 볼 수 있다"고 말했다.

반면, 구조조정 지연과 과도한 인건비 부담에 시달리는 다른 은행들은 아직 채용계획조차 확정하지 못한 상태다.

신한, 우리, 국민, 하나, 외환은행 등은 "국내외 경제 상황이 불투명해 채용계획을 짜지 못했다"고 밝히지만, 대부분 지난해와 비슷한 채용규모를 유지하거나 일부는 축소할 계획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들 은행의 공통점은 수차례에 걸친 인수합병(M&A)을 거쳐 덩치를 키웠음에도제대로 된 구조조정을 하지 않았다는 데 있다.

국민은행은 2001년 주택은행을 합병했으며, 신한은행은 2006년 조흥은행을 합병했다. 우리은행은 상업, 한일, 평화은행이 합쳐져 만들어졌다. 하나은행은 2002년서울은행을 인수했으며, 2012년에는 외환은행을 인수하는 데 성공했다.

은행 간 합병으로 지점 통폐합 등이 불가피했지만, 인력 구조조정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 노조의 반발과 구조조정을 적대시하는 사회 분위기 등이 복합적으로작용한 결과였다. 결국, 과잉인력을 유지해야 했다.

반면, 기업은행은 인수합병 등이 없이 1961년 출범 후부터 '외길'을 걸어온 탓에 이 같은 인력 과잉을 피할 수 있었다.

국책은행의 성격상 금융위원회에서 예산안을 승인받아 집행하다 보니 복리후생비나 인건비를 무리하게 늘릴 수 없었던 것도 신규채용 여력의 배경으로 꼽힌다.

총이익에서 인건비가 차지하는 비중을 보면 국민은행 32.1%, 외환은행 27.1%,우리은행 25.5%, 신한은행 24.8% 등이지만 기업은행은 17.7%에 그친다. 신규 채용의여력이 그만큼 클 수밖에 없다.

한 시중은행 인사 담당 임원은 "은행들의 가장 큰 고민은 갈수록 늘어나는 인건비로 인해 고정비용이 눈덩이처럼 불어나는 데 있다"며 "기업은행처럼 인건비 통제에 성공하지 못한 은행들은 앞으로도 신규 채용을 늘리기 힘들 것"이라고 말했다.

ssahn@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