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티드론' 개척 다빈시스템스…"불법 드론 꼼짝마"

입력 2020-02-13 17:13   수정 2020-02-14 01:09


지난해 국내 드론 조종 자격증 소지자가 3만 명을 돌파했다. 4차 산업혁명의 주요 먹거리로 각광받아온 드론 기술이 물류, 스마트농업, 항공촬영 등 다양한 분야에서 우리 일상 가까이로 스며들고 있다. 드론의 대중화가 빠르게 이뤄지면서 사생활 침해, 무기화, 밀수 등 불법 드론 운항에 대응하는 ‘안티드론’ 산업이 태동하고 있다. 인공지능(AI)을 적용한 자율주행, 소형화 등으로 진화하는 드론과 안티드론 산업은 첨단기술로 맞붙는다. 국내 한 중소기업인이 첨단기술의 격전장인 안티드론 시장에 도전장을 냈다. 2018년 전파신호처리 전문업체 다빈시스템스를 창립한 정진섭 대표(사진)가 주인공이다. 정 대표는 “위상배열안테나 방식의 드론 탐지 시스템으로 아직 걸음마 단계인 국내 민수용 안티드론 시장을 개척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간첩 찾던 전파 전문가의 도전

정 대표의 첫 직장은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다. 북한 공작원의 무전을 색출하는 ‘감청사’ 업무를 했다. 특정 주파수를 탐지하며 북한 공작원의 모스 부호로 추정되는 전파 신호를 색출했다.

정 대표는 “대북 안보가 주요 이슈였던 1985년 시작된 국가적 프로젝트였다”며 “그때 사용한 전파 색출 기술과 방식이 사실상 안티드론 시스템 구축에도 그대로 적용된다”고 설명했다.

안티드론 시스템은 크게 탐지·식별, 무력화, 포획 및 조종자 추적 단계로 구성한다. 레이더 또는 무선주파수(RF) 등의 기술을 활용해 불법 드론을 발견한 뒤 전자파로 통신을 끊는 재밍(jamming)과 레이저빔, 그물망 등으로 무력화한다. 하지만 탐지·식별 단계부터 충분한 기술력을 갖춘 제품이 없다.

정 대표는 “레이더의 경우 정부의 전파사용 허가를 받아야 하고 장애물이 많은 도심지에서는 사용이 어렵다”며 “RF 방식 역시 드론의 방향 추적이 어려워 불법 드론이 증가하고 있지만 이를 적발할 제품이 없다시피 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다빈시스템스가 개발한 ‘오스트리치’는 레이더와 RF 방식의 장점을 결합한 불법 드론 탐지·식별 장치다. 위상배열안테나로 드론과 조종자가 주고받는 전파 신호를 감지해 불법 드론을 찾아낸다. 기본적으로 RF 방식을 활용하는 탐색 장비지만 5.8㎓ 대역과 2.4㎓ 대역을 갖춘 안테나를 32개씩 사용하기 때문에 드론의 방향까지 탐색할 수 있다고 정 대표는 설명했다.

“민간 안티드론 시장 개척해 나갈 것”

안티드론 시장의 성장 전망은 밝다. 드론을 활용하는 산업 분야가 확대되고 개인 사용자까지 늘면서 이에 대응한 안전장치 수요도 증가하는 까닭이다.

미국 리서치컨설팅 업체 글로벌뷰리서치는 지난해 8600억원인 글로벌 안티드론 시장이 2026년 5조4000억원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국내 안티드론 산업은 방산기업인 한화시스템과 ETRI 등이 주도하고 있다. 주로 고성능·고기능 군용 드론 감지 레이더를 개발한다.

정 대표는 “민간용 안티드론 산업은 기술 개발 비용이 크고 양산체제 구축이 어렵기 때문에 대기업이 섣불리 나서지 않는다”고 말했다. 다빈시스템스는 다음달 새 안티드론 탐지·식별 장치의 시연을 거쳐 오는 7월 제품을 출시할 계획이다. 이 장치는 무력화 장비와 함께 공항, 정부 시설 등에 설치된다.

정 대표는 “안티드론 기술은 군사 목적뿐만 아니라 사생활 침해, 밀수, 무기화 등 우리 주변에서 발생할 드론 범죄에 대응할 수 있도록 상용화해야 한다”며 “우리나라 주요 미래 먹거리 중 하나인 드론산업이 안착할 수 있도록 기술 개발을 지속하겠다”고 말했다.

민경진 기자 min@hankyung.com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