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이 뽑은 '적극 행정' 1위는 전남 영암…15년 끈 '중앙분리대 갈등' 해결

입력 2020-02-27 15:42   수정 2020-02-28 01:24

전남 영암군은 조선 업종이 지역 경제의 70%를 차지하는 곳이다. 그런데 이 지역을 사실상 먹여살리는 기업들이 공통적으로 느끼는 애로사항이 있다. 바로 대불산단 진입로에 있는 중앙분리대였다. 다른 지역에선 교통사고를 줄이는 안전장치였지만 영암에 있는 조선 업체들엔 불필요한 걸림돌일 뿐이었다. 대형 조선기자재를 운반할 때마다 차를 돌릴 수 없어 1분이면 도착할 거리를 10분 넘게 돌아가는 일이 비일비재했다.


영암군은 기업들의 어려움을 덜어주기 위해 중앙분리대를 과감하게 없앴다. 그 공로로 대한상공회의소가 27일 발표한 ‘2019년 적극행정 우수지역 평가’에서 ‘적극행정 체감도’ 부문 1위를 차지했다. 전국 228개 지방자치단체와 8800여 개 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다. 영암군은 기업의 주관적인 의견을 묻는 ‘적극행정 체감도’에서 100점 만점에 76.8점을 얻어 1위에 올랐다. 그렇다고 영암군이 기업 편만 들진 않았다. 지역 주민이 안전 문제에 대한 우려를 나타내자 과속카메라 설치, 횡단보도 재포장 등 주민 안전 확보 방안을 마련했다. 이렇게 15년간 풀지 못한 기업과 주민의 갈등을 해결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영암군 관계자는 “공무원들이 지역경제 회복을 위해 쏟은 노력이 수주 확대, 산업단지 여건 개선으로 이어져 기업들의 평가가 좋았던 것 같다”고 말했다. 영암군에 이어 광주 광산구(76.0점)가 적극행정 체감도 2위에 올랐고, 3위는 전남 여수시(75.8점)였다.

지자체의 조례와 실적을 객관적으로 분석하는 ‘적극행정 친화성’ 부문에선 충북 충주시가 1위(75.3점)에 올랐다. 충주시는 소극행정으로 어려움을 겪는 지역 기업들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였다. 소극행정 피해상담을 269건 했으며, 이 중 205건을 해결했다. 공장 증축 후 전력 공급에 어려움을 겪는 기업을 위해 건축법을 유연하게 해석해 전선 지하 매설을 지원했다. 수소충전저장소 설치가 필요한 업체를 위해 부시장이 직접 관계기관을 찾아가 인허가 기간을 3개월 줄였다.

충북 지역에서 유일하게 대기업 본사를 유치하는 성과도 거뒀다. 현대엘리베이터는 지난해 경기 이천에서 충주 제5산업단지로 본사를 이전하고 스마트팩토리를 구축하기로 결정했다. 충청북도와 충주시는 부지 및 설비 투자 지원, 세제 혜택, 전담팀 운영 등 적극적인 행정 지원을 약속했다. 적극행정 친화성 2위는 제주도(67.9점), 3위는 경기 부천시(66.8점) 등이었다.

이번 평가는 대한상의가 2014년부터 진행 중인 ‘기업환경 우수지역 평가’의 일환으로 지난해 적극행정 법령이 제정되며 올해 처음 시행됐다.

고재연 기자 yeon@hankyung.com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