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라임·옵티머스 등 ‘사모펀드 사태’에 대한 감독 책임론에 휩싸인 금융감독원이 자산운용 담당 조직을 대폭 보강했다. 디지털금융 부서들도 덩치를 키웠고, 금융소비자보호처의 권익보호 부문에 총괄 부서를 배치했다. 1971년생 부서장이 배치되는 등 28명의 국실장급 인사도 이뤄졌다. 제재심사위원회를 담당하는 제재심의국장(장진택)은 유임됐다.
금융감독원(원장 윤석헌·사진)은 21일 이같은 내용의 조직개편 및 부서장 인사를 실시했다. 금감원은 자산운용감독국 내부의 펀드심사팀을 1개팀에서 2개팀으로 키웠다. 펀드심사팀은 자산운용사들이 새로운 펀드 상품을 출시하려고 할 때 적법성을 확인하는 기능을 한다.

금융소비자보호처는 금융소비자보호총괄국이 금융소비자보호법과 함께 소비자보호나 금융상품 판매 관련 제도 개선 업무를 모두 맡는다. 소비자권익보호 부문에서는 민원·분쟁조사실이 금융민원총괄국으로 승격하면서 컨트롤타워를 담당한다.
분쟁조정국은 1개가 더 신설돼 사모펀드와 실손의료비 등과 관련한 분쟁 수요에 대응한다. 핀테크혁신실은 디지털금융감독국으로, IT·핀테크전략국은 디지털금융검사국으로 간판을 바꿔달라면서 다른 국에서 배치됐던 신용정보팀, 신용정보검사팀, 금융정보보팀 등을 흡수했다.
부서장 인사에서는 1968~1971년생 부국장과 팀장을 22명 임명해 세대 교체에 주안점을 뒀고, 여성 국장 3명을 정보화전략국장 등 주요 부서에 배치했다. 나머지 팀장과 팀원 인사는 다음 달 말쯤 실시된다.
박종서/오형주 기자 cosmos@hankyung.com
관련뉴스
이 기사와 함께 많이 본 뉴스
인기 갤러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