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인터뷰] 송호성 기아 사장 "맞춤형 모빌리티 시장 세계 1위 차지하겠다"

입력 2021-02-02 17:20   수정 2021-02-02 19:58


30년 동안 쓰던 회사 이름을 바꿨다. 회사를 상징하는 색과 로고(엠블럼)도 갈아치웠다.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자동차 회사(1944년 창립)이면서 회사명에서 '자동차'를 뺀 기아 얘기다. 변화에는 불편함과 비용이 뒤따른다. 대대적으로 바꿨다가 상황이 나빠질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기 마련이다. 지난 4분기 창립 이래 가장 좋은 실적을 낸 기아가 왜 이런 모험을 감행했을까. 변화를 주도한 송호성 사장의 답은 간단했다. "기아는 이제 글로벌 자동차산업의 변화를 끌고가는 회사가 될 겁니다."

송 사장은 최근 한국경제신문과 인터뷰에서 "자동차산업의 패러다임은 확실하게 바뀌고 있고, 변화를 따라갈지 선도할지를 선택해야 하는 상황"이라며 "기아는 전기자동차, 자율주행차 등 미래 모빌리티(이동수단) 시대에는 패스트팔로워가 아닌 퍼스트무버로 거듭나기로 결정했다"고 말했다. 그는 무턱대고 변화하겠다는 주장만 내놓지 않았다. 1시간 30분 가량 진행된 인터뷰를 통해 구매자의 필요에 맞춘 목적기반 모빌리티(PBV)를 비롯한 기아의 미래 먹거리와 새로운 고객층, 새로운 기술의 적용 계획, 마지막 과제라 할 수 있는 중국에서 실적 회복 방안 등을 조목조목 공개했다.
▶회사 이름을 바꾸는 건 쉽지 않았을텐데, 이렇게 과감하게 변화를 시도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자동차를 제조하는 회사에 머무는 게 맞는지 고민을 많이 했습니다. 결론은 '그렇지 않다'였죠. 무엇보다 자동차의 정체성이 스스로 움직이는 모바일 기기로 바뀝니다. 자동차와 가정 및 회사가 데이터로 연결되고, 외부 통신을 통해 자동차 성능을 수시로 바꿀 수 있는 시대가 올 것입니다. 우리가 자동차를 만드는 데 그쳐서는 안 된다는 의미입니다. 회사 이름이든 정체성이든 모든 것을 바꿀 수밖에 없는 상황이죠."
▶현대자동차와 비교해도 더 빨리 변화를 시도했습니다.
"기아가 현대차보다 조금 몸집이 가볍습니다. 과감한 변화를 시도할 수 있는 유연한 조직문화도 갖추고 있습니다. 실제 회사 이름을 바꾸고 내부 반응은 좋습니다. 회사에 자부심을 느끼고 있다는 직원들도 꽤 많습니다."
▶구체적으로는 무엇을 바꿉니까.
"올해부터 전용 플랫폼(E-GMP)을 적용한 전기차가 나옵니다. 다음달 첫 차(CV)를 공개합니다. 아직 구체적으로 밝힐 수 없지만, 아주 획기적인 차량입니다. 2025년까지 전기차 생산량을 50만대, 2030년까지 88만대까지 늘릴 계획입니다. 전용 플랫폼 전기차에는 EV라는 이름을 붙입니다. EV1부터 EV9까지 갑니다. 전기차를 의미하는 일반명사인 EV를 차 이름에 붙인 이유는 기아가 이 시장을 선도하고 대표하겠다는 의지입니다."
▶전기차 외에는 어떤 게 새로 나옵니까.
"자율주행차도 잇따라 나옵니다. 차량과 외부를 무선인터넷으로 연결하는 커넥티드기술도 계속 발전시킬 예정입니다. 2023년에는 내비게이션 뿐만 아니라 차량 성능까지 무선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는 자동차가 나옵니다. PBV도 기아의 미래 먹거리 중 하나입니다."
▶PBV는 기존 차량과 무엇이 다릅니까. 이 시장은 성장 가능성이 있습니까.
"고객의 수요에 맞춘 목적형 차량을 제공한다는 의미입니다. 지금 판매되는 차량은 고객의 필요나 목적에 100% 맞지 않습니다. 기업간거래(B2B) 시장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DHL이나 UPS 같은 글로벌 물류회사도 일반 차를 사서 직접 개조를 해서 쓰고 있습니다. PBV는 스케이드보드 같은 플랫폼 위에 다양한 몸체를 얹는 형식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 움직이는 약국, 편의점, 식당, 서점 등이 나온다는 말입니다. 자율주행 기술이 더해지면 이 시장이 폭발적으로 성장할 것입니다."
▶기아가 이 시장을 정조준하는 이유가 있습니까. 목표는 있습니까.
"기아만큼 유연하고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자동차 회사는 없습니다. 뿐만 아니라 기아는 이미 일종의 목적기반 차량인 군수차량을 만들고 있습니다. 사장 취임 후 광주 군수차량 공장을 방문한 것도 PBV 생태계를 점검하기 위해서였습니다. 이 시장에서 세계 1등을 할 수 있습니다."
▶PBV가 기아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어느 정도 될 것이라고 봅니까.
"2024~2025년부터 전용 플랫폼을 활용한 PBV를 내놓을 계획입니다. 2030년 기아의 글로벌 판매량을 400만대(지난해 약 260만대)로 늘리는 게 목표인데요, 이와 별도로 100만대는 PBV가 될 것입니다."


미래 계획을 거침 없이 밝히는 송 사장에게 다소 아플 수 있는 중국 시장 질문을 던졌다. 그럼에도 답변 속도는 줄지 않았다. 그는 "중국이 마지막 남은 과제"라며 "올해 회복할 것"이라고 말했다. 송 사장이 내놓은 해법은 도매 중심 영업에서 소매 중심 영업으로 전환이었다. 그는 "중국 시장이 급성장하다보니 현지 맞춤 상품을 집중적으로 많이 내놓았는데, 그러다보니 저렴한 브랜드라는 인식이 강해졌다"며 "중국에 선진 시장용 제품을 집중 출시해 기아를 '좋은 차를 파는 브랜드'로 인식하게 만들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현대차와 기아의 브랜드 지향점을 어떻게 차별화할 수 있을 지 묻는 질문에는 "기아는 더 젊고 역동적인 브랜드"라는 답이 돌아왔다. 송 사장은 "우리의 핵심 고객은 밀레니얼 세대"라며 "디자인부터 내부 기기까지 전부 젊고 독창적인 고객에 맞게 바꿀 것"이라고 말했다. 전기차 시대 인력 감축 문제 관련 노동조합의 문제제기에 대해서는 "결국 미래차 시대가 올 것이고, 이를 막을 수 없다는 사실을 노사 모두 인정하고 대화를 시작해야 한다"며 "올해 본격적으로 노사 대화를 할 것"이라고 밝혔다.

국내나 해외에 추가로 생산 기지를 만들 가능성에 대해서는 "당분간 없다"고 못 박았다. 연 30만대를 생산하는 인도 공장을 만든 지 2년도 채 지나지 않은 시점이라 필요가 없다는 이유다. 시장에서 관심이 많은 전기차 배터리 내재화 가능성에 대해서는 고민스럽다는 반응을 보였다. 그는 "배터리 분야는 투자 규모가 워낙 크고, 자동차 공장을 하나 짓는 것만큼의 비용이 든다"며 "그룹 차원의 전략 방향에 맞춰 결정할 문제"라고 설명했다.

기아는 현대차(아이오닉)처럼 전기차 전용 브랜드를 만들까. 송 사장은 "계획이 없다"고 잘라말했다. 2030년까지 전용 플랫폼 전기차를 7종, 기존 모델에서 파생된 전기차를 4종 내놓을 정도로 회사 중심축이 전기차로 옮겨가는데 굳이 별도 브랜드를 운영할 필요가 없다는 판단에서다. 미국에서 인기를 끌고 있는 대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텔루라이드의 한국 출시설에 대해서도 "안 가져온다"고 못 박았다.

도병욱 기자 dodo@hankyung.com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