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표율·2030·내곡동'에 쏠린 與·野의 눈

입력 2021-04-05 17:26   수정 2021-04-06 01:45


서울시장 보궐선거가 하루 앞으로 다가오면서 최종 결과에 영향을 미칠 ‘막판 변수’를 두고 여야 모두 긴장을 늦추지 못하고 있다. 투표가 평일에 치러지는 만큼 최종 투표율에 따라 희비가 갈릴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다. 부동층 비율이 높은 2030세대 민심도 승부를 가를 수 있는 요인이다. 박영선 더불어민주당 후보 측이 오세훈 국민의힘 후보를 향한 ‘내곡동 땅 공세’ 수위를 높이고 있는 만큼 네거티브 여론전이 ‘블랙아웃’ 기간 얼마나 표심을 흔들었을지를 두고서도 양측의 의견이 맞서고 있다.
투표율 50% 분수령 될까
5일 각 후보 캠프에 따르면 지난해 총선 당시 본투표 대비 사전투표율을 적용해 추계할 경우 이번 서울시장 보궐선거의 최종 투표율은 54%가량일 것으로 관측된다. 2018년 지방선거를 기준으로 추계하면 예상 투표율은 60%에 육박한다. 유불리 해석을 두고선 여야가 갈리고 있지만 투표율이 45% 미만일 경우 민주당에 유리하고 60%에 가까울수록 국민의힘 쪽이 승기를 잡을 것이란 평가가 많다. 투표율이 낮을수록 민주당 조직표의 영향력이 더 커질 수 있기 때문이다. 민주당 내부에선 지역·직능단체를 중심으로 짜인 민주당 조직표가 200만 표 이상일 것으로 보고 있다.

여론조사업체 리얼미터의 이택수 대표는 “50%를 기준점으로 잡고 그보다 낮을 경우 양측의 팽팽한 고정지지층의 대결이 되겠지만, 그보다 높으면 정치 중관여층·저관여층의 의사가 중요해진다”며 “현재 중관여층·저관여층은 오 후보를 지지하는 사람이 더 많아 50%가 넘으면 국민의힘이 유리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일각에선 반대 해석도 나온다. 열세 후보에 대한 지지의사를 밝히지 않는 ‘샤이 진보’가 투표장에 결집해 투표율 상승 현상이 나타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청년층이 ‘캐스팅보터’
2030세대의 민심이 어느 쪽으로 향할 것인가도 관건이다. 여론조사업체 리서치앤리서치가 지난 1일 발표한 선거 전 마지막 여론조사에서 20대(만 18∼29세)의 절반가량(52.0%)은 투표할 후보를 결정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30대 부동층도 36.9%로 집계됐다. 전 연령대 평균 부동층 비율(26.2%)을 고려했을 때 상대적으로 마음을 정하지 못한 2030 유권자가 많다는 뜻이다.

2030 부동층 비율이 높은 이유는 그동안 정부·여당을 지지했던 청년 중 상당수가 현 정권에 실망한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된다. 그러면서도 선뜻 야권 후보를 지지하지는 않고 ‘관망세’를 유지하는 상황이라는 것이다. 상대적으로 청년층 지지율이 높은 정의당이 후보를 내지 않은 것도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된다. 여론조사에 나타나지 않은 2030 부동층 민심이 최종적으로 어느 방향으로 작용하는지가 막판 변수가 될 수밖에 없는 이유다. 박 후보와 오 후보 모두 청년 표심 잡기에 여념이 없는 것도 이 때문이다. 박 후보는 연일 교통비 지원과 ‘반값 데이터’ 등 파격적인 청년 공약을 내놓고 있다. 오 후보도 유세 일정의 대부분을 청년 주제에 할애했다.
與 ‘내곡동 땅’ 공세…득될까 독될까
민주당이 오 후보의 내곡동 처가 땅 특혜의혹을 두고 연일 공세 수위를 높이고 있는 것도 막판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 최인호 민주당 선대위 대변인은 “허위사실 유포로 당선무효될 후보에게 투표하는 국민은 없을 것”이라고 했다. 2005년 내곡동 땅 측량현장에 오 후보가 등장했다는 증언이 나온 뒤 여론이 출렁거리고 있다는 게 민주당 측 주장이다. 민주당은 이날 오 후보를 공직선거법상 당선목적 허위사실공표죄로 고발하겠다고 밝혔다.

반면 국민의힘 측은 이 같은 네거티브 공세가 민주당의 ‘자승자박’이 될 것이라고 보고 있다. 김종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이날 기자들과 만나 “민주당이 계속 네거티브만 쓰고 있는데 유권자의 수준은 높고, 속을 정도로 바보가 아니다”며 “별로 신경 쓸 바가 없다”고 일축했다.

다만 야당 일각에선 정치혐오를 느낀 유권자들이 투표장에 나서지 않을 가능성도 염려하고 있다. 유승민 국민의힘 공동선대위원장은 “중도층이 네거티브 선거전에 염증을 느껴 투표를 포기할까 봐 걱정하고 있다”고 했다. 정권심판 바람이 불어 투표율이 높아야 유리하다고 판단하는 국민의힘 입장에선 ‘정치혐오’ 정서가 팽배해질수록 당에 불리하게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고은이 기자 koko@hankyung.com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