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d "올 물가 3.4%, 성장률 7% 급등"…美 '긴축의 길' 들어서나

입력 2021-06-17 17:33   수정 2021-06-18 00:56

‘현재 지속되고 있는 공중보건 위기가 경제에 부담을 주고 있다. 미래 전망에 대한 위험도 여전하다.’(4월 FOMC 성명) → ‘감염 우려가 줄어들면서 경제활동 및 고용 지표가 개선됐다.’(6월 성명)

미국 중앙은행(Fed)이 16일(현지시간) 발표한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성명에서 점도표를 통해 금리인상 시점을 앞당긴 것은 경기 회복세가 뚜렷하다는 판단에서다. 경기가 빠르게 살아나고 있는 만큼 통화 긴축을 준비할 때가 다가오고 있다는 것이다.

○Fed 위원 7명은 “내년 금리 올려야”
FOMC는 이번에 ‘보건 위기가 엄청난 인적·경제적 어려움을 야기하고 있다’는 직전 회의 때까지의 성명서 문구를 삭제했다. 경기 진단에 대한 표현이 작년 3월 ‘제로금리’를 도입한 지 1년3개월 만에 가장 크게 바뀌었다는 평가다.

이날 글로벌 증시가 주목한 건 점도표 변화였다. 점도표는 FOMC에서 투표권이 없는 일부 연방은행 총재들까지 참여해 향후 기준금리 변화를 예측하는 지표다.

총 18명의 위원 중 72%인 13명이 2023년 금리가 오를 것이라고 예상했다. 2023년 말까지 현행 금리가 유지될 것이라고 본 위원은 5명에 그쳤다. 금리인상은 2024년 이후가 될 것이라던 다수 견해가 1년여 만에 바뀐 것이다.

미국 내 물가 상승세가 진정되지 않고 있어 금리인상 시점이 더 당겨질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이번에도 전체 위원 중 7명은 내년에 금리가 오를 수 있다고 봤다. 차기 점도표를 공개하는 9월 FOMC를 주시해야 하는 배경이다.

일각에선 재닛 옐런 재무장관의 ‘조기 금리인상론’에 Fed가 화답하면서 경기 과열에 대비하려는 것 아니냐는 해석도 제기된다. 퀸시 크로스비 푸르덴셜 수석전략가는 “Fed의 이번 성명은 시장 예상보다 훨씬 매파적(통화 긴축 선호)이었다”고 진단했다.
○미 성장률 37년 만에 다시 7%대로
Fed는 이날 별도로 공개한 경제 전망에서 올해 물가상승률 예상치를 종전 2.4%에서 3.4%로, 한꺼번에 1%포인트 올렸다. 상무부가 집계하는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 기준이다. 내년 물가 전망은 2.0%에서 2.1%, 2023년 전망은 2.1%에서 2.2%로 각각 상향 조정했다.

변동성이 큰 에너지 및 식음료를 제외한 근원 물가는 올해 3.0% 급등할 것으로 봤다. 직전 예상치(2.2%) 대비 0.8%포인트 높여 잡았다. Fed는 그동안 ‘최대 고용과 함께 근원 물가가 일정 기간 2.0%를 완만하게 넘어설 때’ 기준금리를 올리고, 이를 위한 ‘상당한 추가 진전이 있을 때’ 테이퍼링에 착수하겠다고 공언해왔다. 근원 물가가 연내 3%대로 치솟을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Fed의 고민도 커지게 됐다.

경기가 불붙고 있는 점은 Fed의 또 다른 걱정거리다. 과열 우려가 나오면서다. Fed는 올해 성장률 예상치를 종전 6.5%에서 7.0%로 수정했다. 현실화하면 1984년(7.2%) 기록한 7%대 고성장 국가로 돌아가는 것이다.

애틀랜타연방은행의 ‘현재 분기 예측 모델’(GDP나우)을 보면 1분기에 6.4% 성장한 미국 경제는 2분기엔 10.3%로 성장에 가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그렇게 되면 미 경제 성장률은 37년 전 기록도 뛰어넘으며 2차대전 이후였던 1950년(8.7%) 후 71년 만에 최고치를 달성하게 된다.
○더 큰 변수로 떠오른 고용시장
물가 상승세가 굳어지는 가운데 고용 회복 여부가 더욱 주목받게 됐다. Fed가 테이퍼링 등 실제 긴축에 나서기 위해선 무엇보다 고용이 뚜렷한 회복세를 보여야 하기 때문이다.

고용시장은 아직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다. 지난달 실업률이 전달보다 0.3%포인트 떨어지면서 5.8%를 기록했지만, 최대 고용(3.5~4.0%)과는 거리가 멀다. 5월 비농업 일자리 수는 55만9000개 증가하는 데 그쳐 시장 기대(67만 개 이상)를 밑돌았다. 인종·소득 등에 따른 고용률 격차도 좁혀지지 않고 있다.

Fed도 경제 전망에서 올해 말 실업률을 4.5%로 예측해 물가 및 성장률과 달리 별다른 변화를 주지 않았다. 지난 3개월 동안 예상을 넘어서는 고용 개선 흐름을 확인하지 못했다는 의미다.

시장에선 ‘코로나19 실업급여’가 중단되는 9월 초를 전후로 고용 회복세가 본격화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고 있다. Fed는 이르면 연말부터 테이퍼링에 착수해 10~12개월 동안 매달 100억~150억달러씩 채권 매입 규모를 줄여나갈 것으로 관측된다.

뉴욕=조재길 특파원 road@hankyung.com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