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라진 롯데'의 결정판…타임빌라스 내달 문연다

입력 2021-08-08 17:22   수정 2021-08-17 15:41


“옛날 롯데를 완전히 버렸다.” 롯데백화점이 다음달 경기 의왕에 문을 여는 프리미엄아울렛 타임빌라스(사진)에 대한 평가다. 타임빌라스는 매장을 빼곡히 채워 공간 효용성을 극대화하는 롯데의 기존 공식에서 벗어나 유통업계의 화두인 ‘머물고 싶은 공간’을 설계하는 데 집중했다. “변해야 산다”는 강희태 롯데쇼핑 부회장의 강력한 의지가 반영된 것으로 알려졌다.

롯데백화점 관계자는 “코로나19 사태로 유통업계의 새로운 키워드로 떠오른 ‘자연’을 점포 안에 넣는 방식에서 한발 더 나아가 점포가 통째로 자연 속으로 들어간 매장”이라고 설명했다.
잔디밭에 유리온실 마을
타임빌라스는 이달 여는 롯데백화점 동탄점에 이어 하반기 두 번째로 선보이는 새 점포다. 핵심 콘셉트는 ‘자연 친화’다. 입지부터 배산임수를 갖췄다. 앞에는 백운호수가, 뒤에는 바라산이 있다. 점포 입구로 들어간 소비자가 가장 먼저 마주하는 1000㎡ 규모의 대형 광장은 천장이 유리 돔으로 제작돼 햇빛이 쏟아진다. 식당가는 백운호수를 보며 식사를 즐길 수 있도록 전면에 배치했다. 점포 곳곳에 잔디광장과 야외 분수대, 식물로 채운 온실정원 등을 마련했다.

가장 파격적인 공간은 점포 뒤편의 유리온실마을 글라스빌이다. 바라산과 맞닿은 대형 잔디광장에 통유리로 된 집 모양의 글라스하우스가 흩어져 있다. 이곳엔 펫케어시설 코코스퀘어, 침대업체 시몬스 등 10여 개 브랜드의 개별 매장이 들어선다. 브랜드 매장을 3~4층 높이의 건물에 몰아넣은 한국형 아울렛이 아니라 하우스 형태의 유럽 아울렛과 비슷한 설계다.

매장을 촘촘하게 배치해 공간 효용성을 극대화하던 롯데의 전통 공식은 버렸다. 롯데백화점 관계자는 “글라스빌의 건축 비용이 일반 매장보다 네 배 높지만 활용 면적은 절반도 안 된다”며 “공간을 통해 소비자에게 어떤 경험을 줄 수 있느냐에 따라 성공 여부가 갈리는 유통업계 트렌드에 맞춰 새로운 시도를 했다”고 말했다.
“변화 위해 외부 목소리 적극 반영”
글라스빌 콘셉트를 제안한 건 스타트업 글로우서울이다. 서울 익선동에서 샤부샤부 전문점 ‘온천집’ 등 독특한 콘셉트의 식당을 기획 및 운영하는 업체다. 40여 년간 백화점 사업을 해온 롯데쇼핑이 외부 업체에 공간 기획을 맡긴 건 이번이 처음이다.

“우리도 변해야 한다”는 강 부회장의 의지가 강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기존 틀에서 벗어나 새로운 시도를 하기 위해서는 외부 의견을 적극 들어야 한다”는 지시였다. 서울 강남점 등 대형 점포를 기반으로 성장하는 신세계, 더현대서울로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준 현대백화점을 보며 롯데 내부에서 변화를 촉구하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었다.

롯데백화점 관계자는 “아울렛 경험이 없는 20·30대 젊은 사원들을 모아 팀을 구성하는 등 기존 틀에서 벗어나 다양한 시도를 했다”고 설명했다.

노유정 기자 yjroh@hankyung.com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