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체되는 100년 기업들…GE·J&J·도시바 '분할' 나선 이유

입력 2021-11-14 17:37   수정 2021-12-13 00:01

이 기사는 국내 최대 해외 투자정보 플랫폼 “한경 글로벌마켓”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100년 역사의 미국과 일본 대기업들이 잇따라 그룹을 쪼개는 해체선언을 했다. 1875년 창업한 일본기업 도시바, 1886년과 1892년 각각 태동한 존슨앤드존슨(J&J), 제너럴일렉트릭(GE)이다. 꾸준히 몸집을 불리며 성장가도를 달렸지만 회계 부정, 제품 위해성 논란 등으로 몇년새 대형 스캔들을 겪었다. 일각에선 빠른 의사 결정이 어려운 전통적 경영 환경에서 벗어나기 위해 '그룹 쪼개기'에 나서는 기업이 늘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135년 J&J도 기업 분할
"135년 역사에서 가장 중요한 사건이다." 엘렉스 고르스키 J&J 최고경영자(CEO)는 지난 12일 그룹을 두개 사업부로 나누겠다는 계획을 발표하면서 이렇게 밝혔다. J&J는 2023년께 제약·의료기기 사업부를 남기고 소비자건강 부문을 떼어내는 기업 분할 작업에 들어갈 계획이다. 혁신 속도를 높이고 사업별 맞춤형 투자에 집중하기 위해서다.

대형 제약사가 그룹 분리 계획을 발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1849년 설립된 화이자는 2019년 소비자 건강 부문을 떼어냈다. 영국 제약사 글락소스미스클라인(GSK)도 지난해 그룹을 나눴다. 이들이 내세운 목적은 선택과 집중이었다.

오랜기간 투자하며 파이프라인을 가다듬어야 하는 제약사에게 스킨케어 영양제 등 소비자 헬스케어 제품은 단기에 수익을 낼 수 있는 캐시카우였다. 10%에 미치지 못하는 성공률에 기대 10년 넘게 투자해야 하는 신약과 달리 헬스케어 제품은 트랜드에 민감하다. 한 바구니 안에 두 사업부를 담고 균형을 맞춰 시너지를 내기가 쉽지 않았다. 제약사들이 앞다퉈 기업 분할에 나선 배경이다.
몸집 줄이기 본격화되나
올해 J&J는 이보다 속내가 복잡하다. 제약 사업부인 얀센에서 개발한 코로나19 백신 등을 토대로 꾸준한 성장세를 유지했지만 오피오이드(마약성 진통제), 활석(탈크) 베이비파우더 논란 등으로 홍역을 치르고 있다.

앞서 그룹을 항공 헬스케어 에너지 등으로 나누겠다고 발표한 GE, 인프라 디바이스 반도체 사업부 분할을 결정한 일본의 도시바와 비슷하다. 도시바는 2015년, GE는 2019년 나란히 회계 스캔들에 연루된 뒤 기업 평판을 회복하지 못하고 있다.

J&J는 화이자와 어깨를 나란히 하는 세계 최고 제약사다. 1990년대 GE는 세계 경영학의 교과서로 불렸다. 노트북 시장에서 승승장구했던 도시바는 '일본이 무너져도 살아남을 기업'으로 불렸다. 하지만 일본 기업으론 처음으로 그룹을 해체하는 신세가 됐다. 그만큼 이들 기업의 조직개편이 절실했다는 관측이 나오는 이유다.

사흘 간격으로 그룹 분할을 선언한 이들 기업은 산업혁명 후 선진국 경제 기반이 농업에서 공업으로 탈바꿈하던 1800년대 후반 태어났다. 일각에선 제조업 기반 대기업들이 문어발식 사업 확장의 시대를 마감하고 '몸집 줄이기' 시대에 들어섰다고 분석했다. 2019년 이후 듀폰, 유나이티드테크놀로지, IBM 등이 그룹 쪼개기에 나섰다. 하버드비즈니스스쿨의 빌 조지 선임 연구원은 GE 등의 그룹 해체를 두고 "이것은 대기업의 종말"이라고 평가했다.
"IT 공룡 몸집 불리기는 이어질 것" 전망도
전통적 제조기업들의 사업 분리는 계속될 것으로 내다봤다. 투자자들도 사업 구조를 단순화하고 주력 사업에 집중하도록 기업들에 요구하고 있어서다.

다음 주자로 꼽히는 기업은 포스트잇으로 유명한 쓰리엠(3M)이다. 3M의 올해 주가 상승률은 5.1%로 S&P500 평균의 4분의 1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RBC캐피털마켓의 딘 드레이 애널리스트는 블룸버그통신과의 인터뷰에서 "단순한 기업 구조를 요구 받을 만큼 그룹이 거대한데다 실적이 저조하다"고 전했다.

다만 정보기술(IT) 공룡들의 사업 확대는 계속되고 있다. 뉴욕대 연구팀이 40여년간 진행된 3만6000건의 인수합병(M&A)을 분석한 결과 최근 5년간 미 대기업들의 인수 거래는 늘어나는 추세다. 메타(옛 페이스북) 테슬라 아마존 알파벳 등이 거래를 주도하고 있다. 이들은 자동화, 소셜커머스, 지속가능성, 메타버스 등 이익이 생길만한 곳으로 빠르게 이동하고 있다는 점에서 과거 대기업들의 사업 확장과는 차이가 있다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이지현 기자 bluesky@hankyung.com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