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로나19로 경영 불확실성이 커진 상황에서도 기업들의 사회공헌 지출은 오히려 늘었다. 전국경제인연합회에 따르면 2020년 매출 상위 500대 기업의 평균 사회공헌 지출액은 2019년 대비 0.5% 증가했다. 기업 한 곳당 136억7685만원을 사회공헌을 위해 썼다. 글로벌 공급망 재편, 코로나19 확산 등의 리스크에도 사회공헌 지출만큼은 줄일 수 없다는 게 기업 관계자들의 공통된 이야기다.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트렌드 확산에 따라 S부문에 해당하는 사회공헌 활동은 더 강화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사회공헌의 핵심, 인재 양성

숭실대 사회복지학부는 현장에서 문제를 해결하고 대안을 제시할 수 있는 실무형 인재 양성에 나서고 있다. 청소년·노인·장애인 복지 등 다양한 전공의 교수진 13명이 풍부한 실무 경험을 바탕으로 교육한다. 복지투어, 워크숍, 사회복지사 1급 수험서 지원, 국제 학술 교류 등 학생들이 폭넓은 경험을 쌓을 수 있는 프로그램도 마련했다.
설 명절 맞아 다양한 곳에 손길
지역의 어려운 이웃 돕기는 과거부터 이어져 온 기업의 사회공헌 활동이다. 기업들은 일회성 지원이 아니라 꾸준히 손길을 내밀어 자립을 지원하고 있다.
효성그룹은 본사가 있는 서울 마포 지역을 중심으로 취약계층을 지원하고 있다. 아현동 소외계층을 위해 2015년부터 1년에 두 번씩 생필품 세트를 후원하고 있다. 올해는 참치와 햄 등으로 구성된 400개 세트를 지원했다. 매년 두 차례씩 전달하는 사랑의 쌀은 누적 1만8000포대를 넘어섰다. 마포구 내 취약계층 500가구에 김치를 전달하는 ‘사랑의 김치나눔도’ 10년째 이어오고 있다.
효성은 소외 계층이 문화예술을 누릴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관련 후원 활동을 하고 있다. 또 이들이 예술 활동에도 참여하도록 돕고 있다. 지난해 11월에는 ‘제11회 서울배리어프리영화제 개막식’에서 영화 제작지원금 2000만원을 전달했다.

편의점 세븐일레븐을 운영하는 코리아세븐은 ‘2022 가맹점 상생협약’을 통해 가맹점주 보호에 나선다. 경영주와 점포 근무자가 제3자에게 물리적 폭행을 당했을 때 최대 195만원까지 보상금을 지원한다. 롯데제과는 우수 파트너사 임직원에게 상을 주는 ‘동반성장 우수 파트너사 가족의 날’ 행사를 열었다.

김형규 기자 khk@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