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계와 기업 모두 작년 상반기까지 연체율이 낮아지다 하반기 들어 상승세로 전환한 뒤 연말에 상승폭이 확대됐다. 코로나19 사태 이후 자영업자를 중심으로 금융 지원이 집중됐는데 기준금리 인상에 따른 이자 부담을 버티지 못한 차주가 늘어난 결과로 해석된다.
기업과 가계 등 민간부문 대출이자 부담은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 한국경제연구원은 ‘금리 인상에 따른 민간부채 상환 부담 분석’ 보고서에서 올해 민간부문 대출이자 부담이 지난해보다 33조6000억원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금리 인상 여파에 제조업·부동산 시장 둔화로 경기 침체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는 점도 우려되는 부분이다. 한국은행은 지난달 내놓은 금융안정보고서를 통해 기준금리 인상과 경기 부진이 이어지고, 정부 지원 효과까지 사라지면 올해 말 부실 위험 규모가 40조원에 달할 것으로 추정했다.
김보형 기자 kph21c@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