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는 국내 최대 해외 투자정보 플랫폼 한경 글로벌마켓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영국 보수당이 인플레이션 대책을 두고 분열하고 있다. 정부가 치솟는 장바구니 물가를 잡기 위해 50년 만에 가격 통제 정책을 추진하고 있지만 당내 반대 의견이 적지 않다.

영국 정부가 가격상한제를 논의하고 있다는 사실은 전날 텔레그래프가 보도하며 알려졌다. 정부 관계자는 논의가 아직 밑그림을 그리는 수준이라면서도 “소비자가격을 낮추기 위해 소매업체와 협력할 수 있는 모든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고 전했다.
식료품을 중심으로 치솟는 물가는 현재 영국 정부의 가장 큰 고민거리 중 하나다. 영국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지난해 8월부터 5개월 연속 두 자릿수 증가율을 기록했고 지난달 8.7% 상승했다. 식료품 물가는 더 가파르게 뛰고 있다. 영국 식료품 가격은 지난 3월 전년 대비 19.1% 오르며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고 지난달에는 19% 상승했다.
보수당 여론은 정부 정책을 두고 엇갈리고 있다. 당 대표를 지낸 이언 덩컨 하원의원은 “자유시장에 개입하기 시작할 때면 항상 매우 우려된다”고 경고했다. 반면 존 헤이스 의원은 “가격상한제는 정말 좋은 조치”라고 했다.
영국 정부가 가격통제 정책을 시행한 것은 1973년 에드워드 히스 전 총리 때가 마지막이다. 앤드루 오피 영국 소매 컨소시엄 정책국장은 “정부는 1970년대식 가격 통제를 추진하는 대신 관료주의를 줄이는 데 집중해야 한다”고 비판했다.
김인엽 기자 inside@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