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4일(현지시간)부터 “멕시코·캐나다에 대한 25% 관세 부과를 예정대로 예정대로 강행한다”고 예고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과의 협상 여지는 남아 있지 않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그들이 해야 할 일은 미국에 자동차 공장과 기타 산업시설을 건설하는 것뿐이다. 그렇게 하면 관세를 피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내 제조업 부활을 목표로 관세 정책을 강화하는 것”이라고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발표 이후 3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증시 주요 지수는 일제히 급락했다.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649.67포인트(-1.48%) 하락한 4만3191.24로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도 104.78포인트(-1.76%) 내린 5,849.72, 나스닥 지수 역시 497.09포인트(-2.64%) 빠진 1만8350.19에 장을 마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당초 지난달 두 나라가 펜타닐 밀수 및 불법 이민 문제 해결을 위해 미국과 협력하는 조건으로 캐나다와 멕시코에 대한 관세 부과를 유예했다. 뉴욕타임스(NYT)는 “트럼프 행정부가 수주간 진행된 논의에도 불구하고 마약 밀수 차단에 충분한 진전이 이뤄지지 않았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도 추가로 10% 인상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는 지난 2월 부과한 10% 관세에 더해지는 것으로, 기존 부과된 관세와 합하면 상당한 무역 압박이 될 전망이다. 로이터통신은 “이번 발표는 북미 3국 간 관세를 피하기 위한 치열한 협상이 진행된 후 나온 것”이라고 분석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각국 미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와 비관세 장벽 등을 고려해 적용하는 ‘상호 관세’를 4월 2일부터 부과할 것이라고 재확인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 조치를 국제비상경제권법(IEEPA)을 근거로 추진할 예정이다. 이 법은 국가비상사태가 선언됐을 때 대통령이 광범위한 무역 제재 및 경제 제재를 단행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
한편 클라우디아 쉰바움 멕시코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 이후 “트럼프 대통령과의 직접 대화를 고려하고 있다”며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멕시코는 불법 이민과 펜타닐 밀수를 막기 위해 강력한 단속을 진행해왔으며, 범죄조직 연루자에 대한 체포도 늘려왔다”고 강조했다.
이소현 기자 y2eonlee@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