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는 국내 최대 해외 투자정보 플랫폼 한경 글로벌마켓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중국의 소비자물가지수(CPI)가 2월 전년 동기 대비 0.7% 하락해 13개월 만에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중국 정부의 잇따른 내수 진작 정책에도 불구하고 디플레이션 우려가 현실화되고 있는 모습이다.
9일 중국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2월 CPI 상승률은 전년 동기 대비 0.7% 하락해 지난 1월(전월 대비 +0.5%)보다 악화됐다. 이는 블룸버그가 집계한 전문가 예상치인 -0.4%보다 더 큰 하락폭이다.
중국의 CPI 전년 대비 상승률은 지난해 8월 0.6%을 기록한 뒤 9월 0.4%, 10월 0.3%, 11월 0.2%, 12월 0.1%로 둔화했지만, 당국의 내수 촉진 정책이 연이어 발표되면서 올해 1월 0.5%로 뛰었다.
2월 생산자물가지수(PPI)도 전년 동기 대비 2.2% 하락하며 29개월 연속 하락세를 이어갔다. PPI는 지난해 6~7월 -0.8%로 하락폭이 축소됐으나 8월 -1.8%, 1월 -2.3%를 기록하며 큰 하락폭을 보이고 있다.
중국 경제가 디플레이션(경기 침체 속 물가 하락) 압박에 직면해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물가 하락은 가계 소비를 위축시키고 기업의 수익성을 악화시켜 투자를 감소시키며, 결국 임금 삭감과 고용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
로이터 통신은 “글로벌 관세 위협과 중국의 과잉생산이 중국 수출업자들을 전세계적인 가격 경쟁으로 내몰고 있으며, 상당수 기업이 제품 가격과 임금을 인하하도록 강제하고 있다”며 “세계 2대 경제대국인 중국에 디플레이션 압박이 예상된다”고 전망했다.
다만 소비가 급증하는 ‘춘절(중국 음력 설)’의 시기 차이로 인한 기저 효과도 일부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춘절이 2월에 집중됐던 작년과 달리 올해는 1월 28일부터 2월 4일까지로 시기가 앞당겨졌다.
둥리쥔 중국 국가통계국 수석통계사는 “소비 성수기인 춘제 이후 통계가 집계된 점과 일부 국제 원자재 가격 변동의 영향이 반영된 결과”라며 “일부 분야에서는 물가가 안정세를 보이고 있으며 PPI 하락폭이 축소되고 있는 만큼 물가 회복세가 이어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혜인 기자 hey@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