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육아휴직 중인 직장인 A씨는 아기가 9개월이 되는 시점에 어린이집을 보내기로 결정했다. 복직을 앞두고 어린이집 적응을 마치기 위해서다. A씨는 "돌 전에 어린이집을 보내는 것에 대한 마음의 부담이 있기는 하지만, 더 일찍 어린이집 생활을 시작한 아이들도 잘 적응하고 있다는 원장님의 얘기에 등원을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2009년 조사 때만 해도 생애 최초로 보육·교육기관을 이용하는 시기는 30개월이었는데, 그 시기가 앞당겨진 것이다. 워킹맘인 경우 어린이집에 보내는 시기가 18.2개월로 더 빨랐고, 가정주부인 경우에는 22.6개월로 상대적으로 늦었다.
표본 조사가 아닌 전체 영유아의 연령별 보육·교육서비스 이용 현황을 봐도 이런 추세가 두드러진다. 지난해 돌 전 아동의 25.5%가 어린이집 '0세반'에 다닌 것으로 나타났다. 만 1세에 어린이집에 다니는 비율은 89.8%, 2세는 94.9%에 달했다. 가정보육을 해 양육수당을 받는 비율은 만 1세의 경우 9.5%, 만 2세의 경우 4.3%에 불과했다.
육아휴직 이용 경험은 어머니 단독이 34.5%로 가장 많았고, 아버진 단독 3.6%, 부모 모두는 6.1%였다. 2021년 조사와 비교하면 육아휴직을 사용하는 비율은 소폭 늘어났다. 당시 조사에선 각 32.6%, 2.1%, 2.4%였다.
이번 실태조사에 따르면 전체 영유아 기준 보호자 부담 비용은 월평균 14만6000원(어린이집 7만원, 유치원 17만7000원)에 불과했다. 순보육·교육 비용 기준으로는 전체의 81.3%가 비용을 내지 않고 있다. 무상보육 원칙에 따라 국가와 지자체가 보육료를 지원해주고 있기 때문이다. 부모가 부담하는 비용은 대부분 현장학습비나 특별활동 비용이다.
보육료와 교육비가 부담된다는 응답은 20.2%에 불과한 반면, 서비스의 질적 개선을 위해 추가 비용을 부담할 의사가 있다는 응답도 53.6%에 달했다. 육아지원 정책별 필요성을 7점 만점으로 조사한 결과에서는 '일·가정양립지원 확대(6.3점)', '남성양육참여 지원 확대(6.2점)'가 '양육비 경감 확대(6.1점)'보다 높은 점수를 차지했다.
강민규 교육부 영유아정책국장은 “이번 조사결과를 토대로 보호자의 양육부담을 완화하고 일·가정 양립을 실현할 수 있도록 시간제 보육 활성화 방안, 연장보육 확대 지원방안, 공공보육·교육기관 확대 방안 등 다양한 정책을 적극 추진할 것”이라 밝혔다.
고재연 기자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