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경기 파주에서 벌어진 경찰관 피습 사건과 관련해 지휘부가 일선 지역 경찰에게 책임을 떠넘기는 것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되자 경찰청이 직접 해명에 나섰다.
경찰청 범죄예방대응국은 25일 "파주에서 가정폭력 신고를 받고 출동해 범인의 흉기에 찔려 중경상을 입은 경찰들에 대해 감찰 조사를 진행하지 않았다"며 "앞으로도 (감찰) 계획이 없다"고 밝혔다.
지난 22일 경기 파주 와동동의 한 아파트에서 가정폭력 신고를 받고 출동한 경찰관 3명이 공격당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날 40대 남성 A씨의 아내가 "살려달라"며 112에 신고했고, 경찰은 이를 가정폭력으로 분류해 현장에 출동했다. 신고 약 15분 만에 현장에 도착한 20대 남성 B 경장과 30대 남성 C 경사는 A씨 아내와 자녀들을 방 안으로 분리 조치하고 A씨의 진술을 들으려 했지만, A씨는 갑자기 주방 쪽으로 가더니 있던 흉기를 집어 들어 공격했다. 결국 추가로 출동한 지구대 소속 경찰 2명이 A씨를 제압하면서 현행범으로 체포됐다.
당시 처음 출동한 경찰관 2명은 방검복 등 안전 장구를 착용하지 않은 상태로 현장에 갔다가 공격을 당한 것으로 알려졌다. 추가 도착한 경찰관 1명도 범인 제압 과정에서 손을 다쳤다.
이에 경찰 관계자가 언론에 "출동 지령에 안전 장구 착용 지시가 있었으나, 출동 경찰들은 착용하지 않았다"고 말한 것이 보도되면서, 경찰 내부에선 지휘부에 대한 불만이 터져 나왔다. 시급한 신고 상황에 방검복을 다 챙겨가지 못한 현장 경찰들에게 책임을 떠넘기는 것 아니냐는 문제 제기가 나왔다.
전국경찰직장협의회는 성명을 내고 "(경찰청은) 습격당한 경찰관에게 감찰을 보내고, 매뉴얼을 따진다"며 "칼을 든 범죄자를 만든 것이 아니라, 칼에 맞을 수밖에 없는 구조를 만든 자들이 이 참사의 진짜 책임자"라고 지적했다.
경찰 내부망 '폴넷'에는 "경찰청은 언제까지 현장 경찰관들이 신고 현장에서 부상을 당하고 심지어 목숨까지 잃는 불행한 사태를 수수방관만 할 것인가"라며 "경찰청 범죄예방대응국 지역경찰역량강화과에서는 지역경찰관서 근무 인원을 확보해 주는 것이 지역경찰관들의 역량을 강화하는 제일 우선임을 알고 근무 인원을 확보할 특단의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적은 글이 게시돼 화제가 됐다.
김소연 한경닷컴 기자 sue123@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