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뷰티, 美 영토 확장…타깃, 한국 상품 늘린다

입력 2025-06-03 18:52   수정 2025-06-04 00:59

아마존 등 온라인 유통 채널을 통해 미국 시장에 침투한 K뷰티가 오프라인으로 무대를 넓히고 있다. 월마트·타깃 등 주요 대형마트 체인이 일제히 K뷰티 전용 코너를 확대하고 있다. 브랜드 검증과 재고 관리 측면에서 온라인보다 더 까다로운 현지 오프라인 채널에 안착하면 ‘K뷰티 붐’이 지속 가능한 산업으로 한 단계 도약할 것이란 기대가 나온다.

◇K뷰티 판매 확대하는 美 타깃
3일 뷰티 유통업체 언락드브랜드에 따르면 미국 대형 할인마트 체인 타깃은 현재 1600여 개 매장에서 운영하는 K뷰티 전용 섹션을 연내 전 매장(1978개)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미국 내 모든 매장에서 K뷰티 제품을 판매하겠다는 것이다. 타깃은 이 섹션에서 스킨1004, 라운드랩 등을 판매하는데, 입점 브랜드도 꾸준히 늘릴 예정이다.

타깃이 K뷰티 카테고리를 강화하면서 국내 인디 브랜드의 판로가 확 넓어질 것이란 전망이 제기된다. 세계 최대 화장품 시장인 미국은 여전히 화장품 오프라인 구매 비중이 80% 이상이다. 이 중 타깃은 주요 뷰티 채널로 꼽힌다. 지난해 기준 타깃의 뷰티 관련 상품 매출은 128억달러(약 17조6600억원)에 달한다. ‘미국판 올리브영’으로 불리는 뷰티 전문점 얼타뷰티(113억달러)와 세포라(100억달러)의 연매출을 웃돈다. 로레알그룹의 더마 코스메틱 브랜드 ‘라로슈포제’가 타깃에서 올리는 매출만 연간 1억5000만달러(약 2000억원) 이상이다.

타깃은 종합 쇼핑몰이라는 이점도 있다. 언락드브랜드 관계자는 “세포라 등 뷰티 전문 채널은 ‘뷰티 마니아들의 놀이터’라는 느낌이 강하지만 타깃은 식품, 생활용품도 판매하기 때문에 가족 단위 방문객이 많아 자연스럽게 고객군을 확장하는 효과가 있다”고 설명했다.

타깃 전체 매장의 하루 방문객은 780만~800만 명으로 얼타뷰티(130만 명), 세포라(30만 명) 등을 압도한다.
◇2차 성장동력, 오프라인
타깃뿐 아니라 다른 오프라인 소매점도 경쟁적으로 K뷰티 판매를 늘리고 있다. 미국 최대 오프라인 채널인 월마트는 지난해 말부터 뷰티 전문 코너 ‘뷰티 스페이스’를 통해 썸바이미, 네오젠 등 K뷰티 브랜드를 판매 중이다. TJ맥스, 마샬 등을 운영하는 글로벌 유통기업 TJX도 에이피알의 메디큐브 등을 시작으로 K뷰티 브랜드 유치에 속도를 내고 있다.

K뷰티 브랜드가 미국 오프라인 시장에 안착하면 수출 성장세에 속도가 붙을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해 K뷰티는 아마존, 틱톡숍 등 온라인 채널을 중심으로 대미 화장품 수출액 17억100만달러(약 2조5000억원)를 기록했다. ‘전통 뷰티 강국’인 프랑스 수출액(12억6300만달러)을 큰 폭으로 따돌렸다.

뷰티업계 관계자는 “오프라인 채널은 통상 분기·연간 단위로 계약하기 때문에 현지에서 K뷰티가 ‘일상템’으로 잘 정착하면 브랜드들이 꾸준하고 안정적인 매출을 낼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이선아 기자 suna@hankyung.com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