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18일 열리는 서울국제도서전을 앞두고 서점가에 신간이 쏟아지자 한 출판사 편집자는 이같이 말했다. 해마다 출판사들은 ‘출판계 최대 책 축제’라는 대목에 맞춰 신간 일정을 조정한다. 이맘때 ‘리커버(re-cover)’ 도서 역시 빠지지 않고 출간된다. 리커버 도서는 본문은 거의 손대지 않고 표지 디자인을 바꿔 출간한 책을 말한다.
16일 교보문고에 따르면 올 들어 도서명 또는 부제에 ‘리커버’가 포함된 도서만 18종 출간됐다. 책 이름에 별도 표기를 하지 않은 리커버 도서가 적지 않은 걸 감안하면 실제 판매 중인 리커버 도서는 그 이상이다.
조만간 이 수치는 더 늘어난다. 문학동네시인선 200권째를 맞아 2023년 출간한 시집 <우리를 세상의 끝으로>, 같은 해 펴낸 <최강록의 요리 노트> 등이 리커버로 나올 예정이다. 최초 출간 당시와 비교해 본문 내용은 그대로이고 표지 디자인만 다른 책들이다.
리커버 도서는 주로 ‘O만 부 판매 돌파’ ‘작가 탄생 O주년’을 기념하거나 드라마화, 문학상 수상 등을 앞세워 나온다. 민음사는 이영도의 판타지 소설 <피를 마시는 새> 출간 20주년을 맞아 일러스트를 넣은 특별 한정판 리커버를 도서전에서 선보인다.
하지만 리커버 도서를 두고 표지 디자인만 갈아 끼우는 ‘눈속임’이라는 지적이 끊이지 않는다. 몇 년 전 나온 책이라도 표지가 새로우면 신간처럼 독자의 눈길을 끌기 때문이다. 출판사는 신작을 발굴하고 출간하는 것보다 적은 수고를 들여 판매량을 늘릴 수 있다.
많은 독자에게 사랑받은 책을 리커버로 내는 것은 일종의 팬서비스라는 반론도 있다. 민음사는 도서전을 맞이해 정대건의 장편소설 <급류> 표지를 이진주 작가의 그림으로 장식한 리커버 도서(사진)를 선보인다. SNS 입소문으로 출간 2년 만에 베스트셀러 순위를 역주행해 20만 부가 팔려나간 걸 기념하는 특별판이다. <급류> 리커버를 담당한 박혜진 민음사 한국문학팀 부장은 “순수 독자의 입소문만으로 ‘구간’이 다시 사랑받는 일은 흔치 않기 때문에 이를 기념해 독자를 위한 특별한 선물을 준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각 리커버의 계기와 방향성이 얼마나 설득력 있느냐가 평가를 가른다. 김성신 출판평론가는 “리커버 도서를 새로 출간된 책처럼 보이게 의도한다면 그건 마케팅이기보단 일종의 독자 기만 행위”라며 “이 책을 ‘다시’ 혹은 ‘여전히’ 읽어야 할 이유가 무엇인지, 그 가치가 왜 여전한지 등을 충분히 설명하고 납득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구은서 기자 koo@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