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민석 국무총리 후보자가 자신을 두고 제기된 소위 '노부부 투서 사건'에 대해 "쓰레기 지라시" 등을 언급하면서 강도 높게 반박했다. 이 사건은 한 60대 노부부가 '김 후보자가 돈을 빌려 간 뒤 갚지 않았다'고 주장하며 유서를 남기고 2004년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는 내용으로, 2008년 언론 보도를 통해 처음 알려진 바 있다.
김 후보자는 18일 페이스북에서 "검찰이 조작해온 이재명 대통령의 사법 리스크에 대해 하나도 귀 기울여본 적 없는 이유는 대한민국의 정치 검찰이 어떤 식으로 사냥 작업을 해왔는지, 저 자신 너무 생생히 겪어왔기 때문"이라며 "표적 수사, 증거 조작, 허위 보도, 증인 압박 등 모두 설마가 사람 잡는 수준으로 윤석열류의 이 나라 정치 검사들이 해온 일"이라고 했다.
김 후보자는 "제 청문을 앞두고 이들이 만들어온 쓰레기 하나가 저질 극우 유튜브나 언론을 빙자한 지라시들에 의해 유통되고 있나 보다. 이른바 '노부부 투서 사건'"이라며 "결론부터 말하자면 정치 검찰의 천인공노할 허위 투서 음해 사건이다. 어떤 노부부가 제게 돈을 뜯기고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는 건데, 대한민국이 그 정도로 허술한 나라이며, 사실이라면 자식들이 가만있겠냐"고 했다.
김 후보자는 "사실은 이렇다"면서 당시 사건 경위를 설명했다. 그는 "청탁을 미끼로 제3자의 돈을 착복한 한 지역 주민이 제게 그 청탁을 민원 했고, 저는 들어주지 않았다. 놀랍게도 그분은 제게 돈을 줬다는 허위 투서를 하고 스스로 목숨을 끊었고, 저는 하늘의 도움으로, 제 보좌관이 녹취했던 그분과의 대화록을 검찰에 자진 제출하고, 투서의 음해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고 했다.
김 후보자는 "상식에 맞지 않는 짓을 하는 검찰의 빨대가 되어 보도라는 명목으로, 한치의 합리도 없이 지면에 팔아대는 집단을 저는 기레기가 아니라 쓰레기라 본다"며 "내 눈의 들보로 티끌을 찾으려 하는 이들이 다시 그 치 떨리는 정치 검찰-쓰레기 지라시 협잡 카르텔의 자발적 노예로 나서고 있다. 그따위 허위 투서로 두세 번 우려먹는 장난질에 당하지 않겠다"고 했다.
김 후보자는 인사청문회를 앞두고 제기된 자신의 신상 문제 등이 대부분 검찰의 '표적 사정' 때문이라는 취지로 연일 반박해오고 있다. 전날에는 과거 두 차례 유죄를 판결받은 정치자금법 위반 사건에 대해 "표적 사정"이라고 규정하면서 "이로 시작된 제 경제적 고통은 상상을 초월하는 수준이었다"고 했다. 이로 인해 야당이 지적하는 사적 채무 문제가 발생했다는 게 김 후보자의 입장이다.
국민의힘은 김 후보자의 책임 있는 설명을 촉구하고 나섰다. 함인경 국민의힘 대변인은 이날 '검증이 아니라 요식, 해명이 아니라 회피, 국무총리 후보자 인사청문회가 이래서 되겠냐'는 제목의 논평을 내고 "김 후보자를 둘러싼 의혹은 날로 불어나고 있다"며 "불법 정치자금 수수와 추징금 납부 관련 해명이 여전히 석연치 않은 가운데, 모친 소유 빌라의 수상한 임대차 거래 의혹까지 더해졌다"고 했다.
함 대변인은 "이처럼 복합적인 의혹이 제기되는 만큼, 국무총리 후보자는 국민 앞에서 정직하게 사실을 설명해야 할 책임이 있다"며 "여기에 후보자의 자료 제출은 무성의로 일관되고 있다. 오늘 예정된 증인·참고인 채택에서도 핵심 인물이 빠진다면, 이는 검증을 회피하는 것이라 볼 수밖에 없다"고 했다.
함 대변인은 "게다가 후보자의 해명은 언제나 '정치 검찰의 표적 사정', '불가피한 선택'이라는 식의 자기 변명에 머물고 있다. 민주당이 정치적으로 불리할 때마다 반복해온 해묵은 프레임일 뿐, 객관적 사실과 정면으로 마주하는 태도는 찾아볼 수 없다"며 "국민이 총리 후보자에게 원하는 것은, '피해자 서사'가 아니라 공직자로서 책임 있는 설명"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인사청문회는 무성의하게 일관하면서 그저 버티면 되는 요식 행위가 아니다. 국민을 위한 검증의 장"이라며 "회피가 아니라 설명을, 면피가 아니라 책임을 보여야 할 때다. 여야는, 청문회 준비부터 검증의 마무리까지 모든 과정을 철저히 준비하고 성실히 임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여야는 오는 24~25일 이틀간 김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회를 열기로 했다. 여야는 먼저 이날 오후 김 후보자 인사청문특위 1차 회의를 열어 특위 위원장과 양당 간사를 선임하고 인사청문실시계획서와 증인·참고인 명단 등을 의결하기로 했다. 증인·참고인 명단 채택을 두고 치열한 공방이 일 것으로 전망된다.
홍민성 한경닷컴 기자 mshong@hankyung.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