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개 없는 추락' 금펀드 급반등…한달 수익률 최고

입력 2013-08-20 05:52  

추락을 거듭하던 금펀드 수익률이 급반등했다.

그러나 금값이 바닥을 치고 올라오고 있다는 관측과 최근 상승은 기술적 반등일 뿐이라는 해석이 엇갈려 투자자들의 고민만 깊어지고 있다.

20일 펀드평가사 제로인에 따르면 금펀드가 주를 이루는 기초소재섹터 펀드의최근 한 달 수익률은 10.94%로 전체 유형별 펀드 중 성과가 가장 좋다.

같은 기간 국내 주식형과 채권형펀드 수익률은 각각 2.20%, 0.03%에 그쳤다. 해외주식형펀드는 4.26%의 수익률을 기록했다.

금펀드 중에서 블랙록월드광업주 펀드의 1개월 수익률이 15.04%로 가장 높다.

블랙록월드골드(13.71%)와 IBK골드마이닝(10.89%), 신한BNPP골드(9.16%)가 뒤를 이었다.

상장지수펀드(ETF)인 TIGER금은선물(8.58%)과 KODEX골드선물(6.88%)도 지난 한달간 코스피 수익률(2.47%)을 뛰어넘는 성과를 냈다.

최근 수익률이 반짝 상승했으나 연초 이후로 보면 금펀드 수익률은 -30%를 밑돌정도로 저조하다. 블랙록월드골드 펀드의 연초 이후 수익률은 -33.54%이고 2년 수익률도 -47.87%로 참담한 상황이다.

연초 이후 금값은 20% 가까이 떨어지며 지난 2000년 이후 13년 만에 처음으로연간 기준 내림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지난 5월 이후 미국 양적완화 축소 우려가 불거진 것을 계기로 금펀드도 쪽박을찼다. 미국의 시장금리가 일제히 오르며 달러 가치가 강세를 보이자 달러의 강한 대체재인 금값이 온스당 1,300달러 이하로 폭락한 것이다.

최근 금값은 다시 오르기 시작했다. 중국과 유로존이 양호한 경제지표를 발표한지난주에는 금값이 4.5% 올랐다. 16일(현지시간) 뉴욕상품거래소에서 금 선물가격은온스당 1,371달러로 마감했다.

급등세를 이어가던 선진국 주식시장이 주춤한 가운데 실물 수요가 늘어나는 조짐이 나타나자 투자자들이 안전자산인 금에 눈을 돌린 것으로 풀이된다.

중국 금협회 집계 결과 올해 상반기 중국의 금 소비량이 706.4t으로 작년 같은기간보다 246.8t(53.7%) 증가한 것도 금값에 긍정적으로 작용했다.

이석진 동양증권 연구원은 "금값이 추세적으로 상승 전환했다고 하기에는 이른시점"이라며 "달러가 추가 강세를 나타낼 수 있기 때문에 금값이 또다시 온스당 1,300달러 이하로 밀릴 수 있다"고 말했다.

이 연구원은 "다만, 미국 양적완화 축소와 관련한 충격이 이미 한 차례 금값에반영됐기 때문에 급등락 가능성은 낮다"면서 "금펀드보다는 파생결합증권(DLS) 투자가 유리한 시기"라고 조언했다.

chopark@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