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국민의 소득이 정체되고 저축에 대한 관심이 줄어들면서 총저축률이 26년 만에 최저치로 떨어졌다.
기획재정부와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 총저축률은 30.0%로 1983년 28.9% 이래 가장 낮았다.
총저축률은 총저축을 국민 총처분 가능소득으로 나눠 계산한다.
총저축은 국민 총처분 가능소득에서 민간.정부의 소비지출을 뺀 것이다.
총저축률이 낮아졌다는 것은 기업의 투자 여력이 줄어들고 가계 건전성이 그만큼 나빠졌다는 의미다.
우리나라의 총저축률은 2003년 31.9%, 2004년 43.0%까지 올랐다가 2005년 32.1%, 2006~2007년 30.8%, 2008년 30.5%등에 이어 5년째 내리막을 걸었다.
총저축률 하락은 최근 저금리 기조로 소득 상위 계층의 경우 저축보다 다른 자산에 대한 투자를 선호하는데다 모든 계층에서 경제 위기로 인해 저축의 여력이 줄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총저축률 감소는 경제 발전을 위한 투자 저하로 이어져 경제 성장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
지난해 국내 투자율은 25.8%로 외환 위기 시절인 1998년 25.2% 이후 가장 낮았다.
정부 관계자는 "지난해의 경우 경제 위기로 가처분 소득 증가율이 주춤하면서 총저축률도 떨어졌다"며 "총저축률이 매년 감소하는 것은 경제 발전에 좋은 신호가 아니라서 저축률 제고를 위해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