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우리금융 민영화 방안을 놓고 논란이 지속되는 가운데 정부가 예정대로 이달 중 우리금융 지분 매각 공고를 낸다는 방침을 밝혔다.
정부 관계자는 "6월말까지 매각 공고를 낸다는 방침은 현재까지 변함없다"고 전했다.
다만 "공적자금관리위원회 위원들간 토론이 더 필요하고 해외 출장 등 개인 일정 등을 조율하느라 날짜를 확정하지 못했다"며 "시장 상황도 지켜보고 있다"고 덧붙였다.
매각 공고에는 최소한 무엇을, 어떻게 팔겠다는 내용이 포함될 것이라며 "과거 서울은행이나 조흥은행 매각 때의 방식을 벗어나지는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시장에서는 경남은행과 광주은행은 분리 매각하되 예금보험공사가 보유한 우리금융 지분(56.97%)은 투자제안서를 받아 경쟁 입찰한다는 방침이 매각공고에 담길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정부는 우리금융 지분을 경쟁입찰을 통해 전략적 투자자에게 우선 매각하고, 적절한 전략적 투자자가 없으면 분산 매각도 고려한다는 견해를 밝힐 것으로 관측된다.
정부로서는 전략적 투자자에게 경영권 프리미엄을 받고 지배지분을 파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지만 실현 가능성이 작은 것으로 전문가들은 분석하고 있다.
정부지분 가운데 절반인 28.5%만 팔아도 3조5천억~4조원 가량이 들기 때문에 자금능력을 보유한 곳이 많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지분을 5~9%씩 쪼개 분산 매각하는 방식은 ''공적자금 극대화''라는 민영화 취지에 맞지 않아 정부가 1순위로 택하기 어려울 것으로 전망했다.
이에 따라 금융지주회사간 주식 맞교환 방식에 의한 합병론이 재부각되고 있다.
''세계 50위권 은행''의 필요성을 강조해온 어윤대 KB금융지주 회장 내정자가 우리금융과 합치는 것을 선호하는 것으로 알려져 경쟁입찰에서 합병을 제안할 가능성도 높은 것으로 점쳐지고 있다.
하나금융지주도 우리금융과의 합병을 고려 중이다.
업계 관계자는 "한정된 투자자들에게 분산매각하는 방식은 시간이 오래 걸릴 수 있어 은행간 합병 방식이 여전히 가장 바람직하고 실현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어차피 정부 지분 모두를 한 번에 팔기는 어렵고 지주회사간 합병을 통해 우선 지분을 낮춘 뒤 매각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하지만 정부가 아직 민영화 절차를 의결하는 공적자금관리위원회의 날짜조차 잡지 못한 상태여서 민영화 작업이 제대로 진행될지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