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경제연구소는 ''베이비붐 세대 은퇴의 파급효과와 대응방안'' 보고서에서 베이비붐 세대 은퇴가 당장 경제에 큰 영향을 주지는 않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우리나라에서 베이비붐 세대란 일반적으로 한국전쟁 휴전 이후 출산율이 급등한 1955~1963년 사이 출생한 세대를 일컫는다.
현재 생존한 베이비붐 세대는 713만8천명이며, 올해 우리나라 전체 인구의 약 14.6%를 차지한다.
연구소는 "베이비붐 세대의 ''맏형'' 격인 1955년생들이 올해 기업의 일반 정년연령인 55세가 돼 내년부터 이들이 대거 은퇴하면서 경제적으로 미칠 부정적 영향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며 "하지만 분석 결과 단기적으로 우리나라의 거시 경제에 미칠 영향은 제한적으로 판단된다"고 밝혔다.
10년간 실제로 은퇴하는 베이비붐 세대가 140~150만명에 불과할 것이라는 점을 이유로 들었다.
베이비붐 세대 취업자가 549만명에 달하지만 이 가운데 정년퇴직해 실제로 노동시장에 영향을 미칠 베이비붐 세대는 상용근로자 가운데 2~3년 이상 근속자로 한정된다는 분석이다.
연구소는 베이비붐 세대가 은퇴하면서 노후 생활을 위해 보유 자산을 대거 처분하는 데 따른 자산가격의 급락 우려도 낮다고 진단했다.
연구소는 "베이비붐 세대의 가구에서 주식 보유 비중은 고소득층을 중심으로 12.9%에 불과하다"며 "평균 보유 금액도 나이가 들수록 증가해 주식을 대량으로 처분할 것으로 보이지는 않는다"고 관측했다.
또 "연간 소득 대비 순 금융부채가 2배 이상인 가구를 주택처분 가능성이 큰 가구로 간주하면 실제로 베이비붐 가구의 6% 정도만 주택을 처분할 가능성에 노출된다"고 덧붙였다.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가 국가 재정에 주는 부담과 관련해서도 "보건과 복지 지출이 늘겠지만 국내총생산 대비 고령자 관련 공공지출은 지난해 5.9%에서 2018년 7.3%로 증가하는 데 그칠 것"이라고 전망했다.
다만 "베이비붐 세대 은퇴가 막바지에 달하는 2018년에 우리나라는 65세 이상 인구가 14% 이상을 차지하는 고령사회로 진입한다"며 "중장기적 관점에서 노동력의 질적 저하에 대비하고 임금피크제 확대, 전직(轉職) 지원, 역모기지 등 노령 금융상품 활성화 등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