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소득층은 은행에서 신용대출한 금액보다 개인한테 빌린 돈이 더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
5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2월 말 기준으로 소득 5분위별 신용대출 현황을 분석한 결과 소득 1분위(하위 20%)의 기관별 신용대출 금액 비중은 개인이 33.2%로 가장 높았고 은행(32.5%)이 2위를 차지했다.
이어 농·수협, 신협, 새마을금고, 우체국 등 비은행 금융기관이 24.5%에 달했으며 기타(7.5%), 보험(2.0%), 저축은행(0.2%) 등의 순이었다.
저소득층은 신용도가 낮아 은행에서 신용대출을 받기 어려워 사적으로 빚을 내거나 은행 이외의 금융기관을 찾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분석됐다.
연간 경상소득이 평균 1천810만원인 소득 2분위 계층 역시 개인에게 빌린 돈의 비중이 25.1%에 달해 은행(37.9%), 비은행 금융기관(25.5%) 등에 이어 3위를 차지했다.
반면 소득 5분위(상위 20%)의 기관별 신용대출 금액 비중은 은행이 67.3%로 가장 많았으며 개인은 5.5%에 그쳤고 비은행 금융기관도 18.1%로 조사됐다.
전체 가구의 평균은 은행이 55.8%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으며 비은행 금융기관(22.2%), 개인(12.1%), 기타(5.9%) 등의 순이었다.
순자산(자산총액-부채총액) 5분위별로 분석한 결과도 이와 비슷했다.
순자산 1분위의 신용대출은 은행이 41%로 가장 많았지만 개인(24.3%)이 비은행 금융기관(22.9%)보다 많았다.
가구주의 종사상 지위별로는 임시일용근로자는 개인에게 빌린 금액이 36.1%로 은행 신용대출(36.5%)과 거의 같았으며 비은행금융기관(14.1%), 기타(9.1%) 등과는 큰 차이를 보였다.
이밖에 신용카드대출이 있는 가구의 비율은 평균 6.6%였으나 소득 1분위는 3.6%로 가장 적었다.
그러나 신용카드대출 보유가구의 평균 대출금액은 652만원이었으나 소득 1분위의 대출금액은 1천513만원으로 가장 많았다.
이는 신용이 낮은 저소득층이 상대적으로 높은 대출금리를 적용받고 연체나 대환대출 등의 규모가 컸기 때문으로 풀이됐다.
5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2월 말 기준으로 소득 5분위별 신용대출 현황을 분석한 결과 소득 1분위(하위 20%)의 기관별 신용대출 금액 비중은 개인이 33.2%로 가장 높았고 은행(32.5%)이 2위를 차지했다.
이어 농·수협, 신협, 새마을금고, 우체국 등 비은행 금융기관이 24.5%에 달했으며 기타(7.5%), 보험(2.0%), 저축은행(0.2%) 등의 순이었다.
저소득층은 신용도가 낮아 은행에서 신용대출을 받기 어려워 사적으로 빚을 내거나 은행 이외의 금융기관을 찾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분석됐다.
연간 경상소득이 평균 1천810만원인 소득 2분위 계층 역시 개인에게 빌린 돈의 비중이 25.1%에 달해 은행(37.9%), 비은행 금융기관(25.5%) 등에 이어 3위를 차지했다.
반면 소득 5분위(상위 20%)의 기관별 신용대출 금액 비중은 은행이 67.3%로 가장 많았으며 개인은 5.5%에 그쳤고 비은행 금융기관도 18.1%로 조사됐다.
전체 가구의 평균은 은행이 55.8%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으며 비은행 금융기관(22.2%), 개인(12.1%), 기타(5.9%) 등의 순이었다.
순자산(자산총액-부채총액) 5분위별로 분석한 결과도 이와 비슷했다.
순자산 1분위의 신용대출은 은행이 41%로 가장 많았지만 개인(24.3%)이 비은행 금융기관(22.9%)보다 많았다.
가구주의 종사상 지위별로는 임시일용근로자는 개인에게 빌린 금액이 36.1%로 은행 신용대출(36.5%)과 거의 같았으며 비은행금융기관(14.1%), 기타(9.1%) 등과는 큰 차이를 보였다.
이밖에 신용카드대출이 있는 가구의 비율은 평균 6.6%였으나 소득 1분위는 3.6%로 가장 적었다.
그러나 신용카드대출 보유가구의 평균 대출금액은 652만원이었으나 소득 1분위의 대출금액은 1천513만원으로 가장 많았다.
이는 신용이 낮은 저소득층이 상대적으로 높은 대출금리를 적용받고 연체나 대환대출 등의 규모가 컸기 때문으로 풀이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