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병원이나 약국 등이 약을 싸게 구입할 경우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시장형 실거래가 제도로 제약사들이 몸살을 앓고 있습니다.
이에 대해 보건당국도 이르면 다음달부터 실태조사에 착수할 계획입니다.
양재준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불법 리베이트를 차단하기 위해 도입된 시장형 실거래가 제도가 제약사들의 숨통을 조이고 있습니다.
종합병원에 약을 납품하는 비중이 높은 대형 제약사들의 경우 손실은 물론 납품 거절까지 당하는 사례가 속속 등장하고 있습니다.
특히 항생제 판매 비중이 많은 제약사들의 경우 손실을 감내하는 수준이 한계를 넘고 있다는 분석입니다.
항생제 가운데 병원내에서 투여하는 주사제는 시장형 실거래가 영향으로 매출이 20~30% 가량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사실상 적자를 보면서 병원에 납품하고 있다는 얘기입니다.
제약업계 관계자는 "입으로 먹는(경구투여) 항생제의 경우 병원외 처방에서 일부 손실 보전이 가능하지만, 병원내에사만 쓰는 주사제 항생제는 손실 보전이 어렵다"고 말했습니다.
이러한 가운데 종합병원들의 횡포도 여전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제약업계는 특히 부산대병원과 경희대병원(경희의료원), 전북대병원, 영남대병원 등이 가격 인하에 대한 압력이 컸다고 주장했습니다.
제약업계 관계자는 "경희대병원(경희의료원)의 경우 평균 17% 정도 가격 인하를 요구했고, 요구를 들어주지 않을 경우 납품을 거절했다"고 말했습니다.
또다른 업계 관계자는 "전북대병원의 경우 다국적 제약사인 사노피-아벤티스가 플라빅스 가격을 내리지 않자 처방 의약품목록에서 제외시켰다"고 부연했습니다.
이러한 가운데 보건당국도 시장 실태조사에 나서겠다는 방침을 세웠습니다.
보건복지부 관계자는 "이 달 제약사들과 대형 종합병원들의 납품 계약이 본격화되는 만큼 조만간 실태조사에 나설 계획"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이 관계자는 "실거래가 제도가 시행되면서 현장에서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 등에 대해 제약사에게 자료를 요청할 예정"이라고 덧붙였습니다.
건강보험 재정의 출혈을 막기 위해 도입한 시장형 실거래가 제도가 대형 종합병원들의 횡포속에 멍이 들고 있습니다.
WOW-TV NEWS 양재준입니다.
이에 대해 보건당국도 이르면 다음달부터 실태조사에 착수할 계획입니다.
양재준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불법 리베이트를 차단하기 위해 도입된 시장형 실거래가 제도가 제약사들의 숨통을 조이고 있습니다.
종합병원에 약을 납품하는 비중이 높은 대형 제약사들의 경우 손실은 물론 납품 거절까지 당하는 사례가 속속 등장하고 있습니다.
특히 항생제 판매 비중이 많은 제약사들의 경우 손실을 감내하는 수준이 한계를 넘고 있다는 분석입니다.
항생제 가운데 병원내에서 투여하는 주사제는 시장형 실거래가 영향으로 매출이 20~30% 가량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사실상 적자를 보면서 병원에 납품하고 있다는 얘기입니다.
제약업계 관계자는 "입으로 먹는(경구투여) 항생제의 경우 병원외 처방에서 일부 손실 보전이 가능하지만, 병원내에사만 쓰는 주사제 항생제는 손실 보전이 어렵다"고 말했습니다.
이러한 가운데 종합병원들의 횡포도 여전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제약업계는 특히 부산대병원과 경희대병원(경희의료원), 전북대병원, 영남대병원 등이 가격 인하에 대한 압력이 컸다고 주장했습니다.
제약업계 관계자는 "경희대병원(경희의료원)의 경우 평균 17% 정도 가격 인하를 요구했고, 요구를 들어주지 않을 경우 납품을 거절했다"고 말했습니다.
또다른 업계 관계자는 "전북대병원의 경우 다국적 제약사인 사노피-아벤티스가 플라빅스 가격을 내리지 않자 처방 의약품목록에서 제외시켰다"고 부연했습니다.
이러한 가운데 보건당국도 시장 실태조사에 나서겠다는 방침을 세웠습니다.
보건복지부 관계자는 "이 달 제약사들과 대형 종합병원들의 납품 계약이 본격화되는 만큼 조만간 실태조사에 나설 계획"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이 관계자는 "실거래가 제도가 시행되면서 현장에서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 등에 대해 제약사에게 자료를 요청할 예정"이라고 덧붙였습니다.
건강보험 재정의 출혈을 막기 위해 도입한 시장형 실거래가 제도가 대형 종합병원들의 횡포속에 멍이 들고 있습니다.
WOW-TV NEWS 양재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