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산층 소비규모 상위 10개국에 신흥경제국이 대거 포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현재는 물론 10년, 20년 후에도 중산층 소비규모가 순위권내 들지 못할 것으로 전망됐다.
8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2009년 중산층 소비규모 상위 10개국 가운데 4개국이 신흥경제국이었다.
러시아가 총 소비규모 8천700억달러로 신흥경제국 중 가장 높은 6위를 차지했고, 중국은 8천590억달러로 7위, 멕시코는 7천150억달러로 9위, 브라질은 6천230억달러로 10위를 차지했다.
이에 따라 이들 국가가 세계 전체 중산층 소비규모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4%에 달했다.
여기서 중산층은 1인당 연소득이 6천∼3만달러, 하루평균 지출액이 10∼100달러인 계층을 의미한다.
10∼20년 뒤에는 신흥경제국이 세계 중산층 소비시장을 주도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이들 국가가 좀 더 높은 순위로 올라올 것으로 분석됐다.
오는 2020년 중산층 소비규모 상위 10개국 전망치를 보면 2009년 7위였던 중국이 1위로 올라섰다.
중국의 10년 뒤 중산층 소비규모는 총 4조4천680억원으로 2009년의 5배가 넘었다.
이어 2009년에는 순위에 없던 인도(3조7천330억달러)가 단번에 3위에 진입했다.
반면 2009년 1위였던 미국은 한계단, 2위인 일본은 두계단 아래로 내려왔다.
또 독일은 3위에서 5위로, 프랑스는 4위에서 7위로, 영국은 5위에서 10위로 물러서는 등 기존 선진국은 모두 순위가 밀렸다.
2030년은 신흥경제국의 약진이 더욱 두드러졌다.
인도(12조7천770억달러)와 중국(9조9천850억달러)이 세계 중산층의 전체 소비규모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절반에 가까운 41%에 달했다.
특히 2020년에는 상위 10개국에서 빠졌던 브라질이 9위에 오르면서 브릭스(BRICs:브라질.러시아.인도.중국) 국가들이 모두 10위권 안에 진입했다.
이처럼 신흥경제국에서 중산층 소비규모가 급등하는 것은 이들 국가의 전반적인 소득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중산층 인구가 크게 증가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브릭스의 중산층 이상 인구는 중국과 인도를 중심으로 꾸준히 늘어나 2010년말 8억명에서 2016년에는 16억명을 넘어설 전망이다.
또 저소득층에서 중산층으로 상승한 소비자는 고가의 자동차나 정보기술(IT) 제품 소비를 크게 늘리는 경향이 있어 중산층 확대는 소비 증가로 연결될 가능성이 크다.
한은 국제경제실 관계자는 "중산층 편입 인구는 경제가 성장하고 국민소득 수준이 높아질 수록 많아진다"면서 "이미 중산층이 자리를 잡은 선진국은 시간이 흘러도 규모가 크게 변하지 않는 반면 신흥경제국은 경제발달에 따라 중산층이 확대되면서 중산층 소비규모 또한 빠르게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우리나라가 상위 10개국에 포함되지 않은 것에 대해선 "총 소비규모를 따진 것이기 때문에 미국, 중국, 인도 등에 비해 인구 수가 적은 우리나라는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을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현재는 물론 10년, 20년 후에도 중산층 소비규모가 순위권내 들지 못할 것으로 전망됐다.
8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2009년 중산층 소비규모 상위 10개국 가운데 4개국이 신흥경제국이었다.
러시아가 총 소비규모 8천700억달러로 신흥경제국 중 가장 높은 6위를 차지했고, 중국은 8천590억달러로 7위, 멕시코는 7천150억달러로 9위, 브라질은 6천230억달러로 10위를 차지했다.
이에 따라 이들 국가가 세계 전체 중산층 소비규모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4%에 달했다.
여기서 중산층은 1인당 연소득이 6천∼3만달러, 하루평균 지출액이 10∼100달러인 계층을 의미한다.
10∼20년 뒤에는 신흥경제국이 세계 중산층 소비시장을 주도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이들 국가가 좀 더 높은 순위로 올라올 것으로 분석됐다.
오는 2020년 중산층 소비규모 상위 10개국 전망치를 보면 2009년 7위였던 중국이 1위로 올라섰다.
중국의 10년 뒤 중산층 소비규모는 총 4조4천680억원으로 2009년의 5배가 넘었다.
이어 2009년에는 순위에 없던 인도(3조7천330억달러)가 단번에 3위에 진입했다.
반면 2009년 1위였던 미국은 한계단, 2위인 일본은 두계단 아래로 내려왔다.
또 독일은 3위에서 5위로, 프랑스는 4위에서 7위로, 영국은 5위에서 10위로 물러서는 등 기존 선진국은 모두 순위가 밀렸다.
2030년은 신흥경제국의 약진이 더욱 두드러졌다.
인도(12조7천770억달러)와 중국(9조9천850억달러)이 세계 중산층의 전체 소비규모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절반에 가까운 41%에 달했다.
특히 2020년에는 상위 10개국에서 빠졌던 브라질이 9위에 오르면서 브릭스(BRICs:브라질.러시아.인도.중국) 국가들이 모두 10위권 안에 진입했다.
이처럼 신흥경제국에서 중산층 소비규모가 급등하는 것은 이들 국가의 전반적인 소득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중산층 인구가 크게 증가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브릭스의 중산층 이상 인구는 중국과 인도를 중심으로 꾸준히 늘어나 2010년말 8억명에서 2016년에는 16억명을 넘어설 전망이다.
또 저소득층에서 중산층으로 상승한 소비자는 고가의 자동차나 정보기술(IT) 제품 소비를 크게 늘리는 경향이 있어 중산층 확대는 소비 증가로 연결될 가능성이 크다.
한은 국제경제실 관계자는 "중산층 편입 인구는 경제가 성장하고 국민소득 수준이 높아질 수록 많아진다"면서 "이미 중산층이 자리를 잡은 선진국은 시간이 흘러도 규모가 크게 변하지 않는 반면 신흥경제국은 경제발달에 따라 중산층이 확대되면서 중산층 소비규모 또한 빠르게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우리나라가 상위 10개국에 포함되지 않은 것에 대해선 "총 소비규모를 따진 것이기 때문에 미국, 중국, 인도 등에 비해 인구 수가 적은 우리나라는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을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