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의 은퇴 후 경제에 대한 걱정이 세계 주요국 중 최고 수준이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26일 하나HSBC생명에 따르면 작년 하반기 한국과 미국, 중국 등 세계 17개 주요국의 30~60세 경제활동인구 1만7천명을 대상으로 은퇴계획에 대한 설문조사를 한 결과 은퇴라는 단어에 대해 `경제적 어려움''을 가장 먼저 떠올린다는 응답이 한국(1천96명)의 경우 55%로 가장 많았다.
뒤이어 아르헨티나(52%), 폴란드(45%), 프랑스(42%), 캐나다(39%), 영국(38%), 미국(35%), 대만(31%) 순이었다.
반면 은퇴에 대해 `자유''라는 단어를 떠올린다는 응답은 34%로 세계 평균(48%)에 크게 미치지 못했다.
말레이시아, 중국, 싱가포르, 영국, 미국, 프랑스 등은 응답자의 50% 이상이 은퇴에 대해 자유와 행복을 연관 단어로 꼽아 대조적인 모습을 보였다.
한국의 경우 은퇴 후 재정상태를 걱정한다는 응답이 79%에 달해 세계 평균(64%)보다 크게 높았고 그 이유는 저축 금액이 충분하지 않아서(47%), 건강유지 비용에 대한 걱정이 높아서(36%) 등이었다.
퇴직을 위한 평소 저축 상태에 대해서는 `더 많이 필요하다''는 응답이 54%로 절반을 넘었다. 현재 수립한 재무계획 종류(중복 응답)는 생명보험(57%), 퇴직연금(50%), 단기저축(45%) 순으로 꼽았다.
부모세대와 비교해 은퇴 후 가계경제 수준을 묻는 질문에는 부모보다 조금 더 잘 살 것(38%)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지만 비슷한 수준(27%), 조금 더 못살 것(16%)이라는 응답도 적지 않았다.
26일 하나HSBC생명에 따르면 작년 하반기 한국과 미국, 중국 등 세계 17개 주요국의 30~60세 경제활동인구 1만7천명을 대상으로 은퇴계획에 대한 설문조사를 한 결과 은퇴라는 단어에 대해 `경제적 어려움''을 가장 먼저 떠올린다는 응답이 한국(1천96명)의 경우 55%로 가장 많았다.
뒤이어 아르헨티나(52%), 폴란드(45%), 프랑스(42%), 캐나다(39%), 영국(38%), 미국(35%), 대만(31%) 순이었다.
반면 은퇴에 대해 `자유''라는 단어를 떠올린다는 응답은 34%로 세계 평균(48%)에 크게 미치지 못했다.
말레이시아, 중국, 싱가포르, 영국, 미국, 프랑스 등은 응답자의 50% 이상이 은퇴에 대해 자유와 행복을 연관 단어로 꼽아 대조적인 모습을 보였다.
한국의 경우 은퇴 후 재정상태를 걱정한다는 응답이 79%에 달해 세계 평균(64%)보다 크게 높았고 그 이유는 저축 금액이 충분하지 않아서(47%), 건강유지 비용에 대한 걱정이 높아서(36%) 등이었다.
퇴직을 위한 평소 저축 상태에 대해서는 `더 많이 필요하다''는 응답이 54%로 절반을 넘었다. 현재 수립한 재무계획 종류(중복 응답)는 생명보험(57%), 퇴직연금(50%), 단기저축(45%) 순으로 꼽았다.
부모세대와 비교해 은퇴 후 가계경제 수준을 묻는 질문에는 부모보다 조금 더 잘 살 것(38%)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지만 비슷한 수준(27%), 조금 더 못살 것(16%)이라는 응답도 적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