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국내 증시에서는 돈의 힘에 의해 주가가 올라가는 ‘유동성 장세’가 종료된다는 문제를 놓고 논란이 심하다.
이유는 간단하다. 당면한 인플레이션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기준금리를 더 올릴 수밖에 없고, 이 경우 시중 유동성이 흡수돼 주가는 하락국면에 진입한다는 것이다. 인플레이션은 우리만이 아니라 다른 국가들도 문제인 만큼 글로벌 증시도 유동성 장세가 종료된다는 것이 이 설의 핵심이다. 하지만 이 주장에 대해서는 몇 가지 분명히 할 대목이 있다.
첫째, 단순히 기준금리를 올린다고 해서 경기나 증시 입장에서 통화정책이 ‘긴축’으로 돌아섰느냐 하는 점이다. 통화정책 기조가 ‘완화’냐 ‘긴축’이냐는 적정금리 수준으로 파악해야 한다. 기준금리를 올리더라도 여전히 적정수준보다 낮으면 그때 통화정책은 ‘완화 혹은 부양’ 기조로 봐야 한다.
특정국의 적정금리를 파악하는 방법은 ‘피셔 공식’과 정책목적을 감안하는 ‘테일러 준칙’이 널리 알려져 있다. 우리의 경우 약 3.5% 내외로 추정된다. 현재 3%인 점을 감안하면 비록 작년 7월 이후 기준금리를 올려왔다 하더라도 경기나 증시 입장에서는 김중수 한은총재의 말대로 우호적인 통화정책을 추진한다고 볼 수 있다.
둘째, 유동성 장세라 하면 증시가용자금 차원의 개념이다. 증시가용자금은 정책요인과 시장요인에 의해 공급된다. 금융위기 과정에서 정책적으로 유동성을 공급한다 하더라도 실물경제와 증시에 다 유입되는 것은 아니다. 미래가 불확실하기 때문에 정책적으로 풀린 상당규모의 자금이 퇴장되거나 요구불 예금 등에 단기 부동화된다.
최근처럼 경기가 회복될 경우 정책적으로 유동성이 흡수된다 하더라도 퇴장되거나 단기 부동화됐던 자금들의 기회비용이 늘어 시중에 방출하게 된다. 이 경우 증시가용자금은 줄어들지 않는다. 오히려 기준금리가 적정수준 이상으로 올라가기 이전에는 증시가용자금은 더 늘어나는 것이 과거의 경험이다.
셋째, 경제와 증시활력지표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대표적으로 통화유통속도와 레버리지 비율을 들 수 있다. 이 두 지표는 각각 돈이 얼마나 잘 도느냐와 증거금대비 총투자 가능금액의 비율로 높을수록 경제와 증시가 활력이 높다는 것으로 해석된다. 금융과 실물간의 따로 노는 ''이분법 경제(dichotomized economy)''가 아니라는 뜻이다
갈수록 경제활력지표인 통화유통속도와 통화승수도 빠르게 회복되는 추세다. 우리만 하더라도 한때 0.6대까지 떨어졌던 통화유동속도가 최근에는 0.9에 근접하는 상황이다. 금융위기 과정에서 3배 이내로 축소됐던 레버리비 비율도 일부 ‘고위험-고수익’을 추가는 헤지펀드의 경우 10배 내외로 높아지고 있다.
넷째, 글로벌 차원에서 자금규모를 읽을 필요가 있다. 올 들어 유럽재정위기, 일본 대지진, 미국 신용등급 전망 하향 등 선진국에서 잇달아 악재들이 터져 나오면서 글로벌 유동성이 빠르게 신흥국으로 유입되고 있다. 작년 신흥국으로 유입된 글로벌 유동성은 약 1조 달러에 달했다.
특히 우리의 경우 차이나 머니가 집중적으로 유입되고 있다. 2009년말 이후 중국의 국내채권 매입규모는 약 7조원에 달한다. 최대 투자처인 미국 국채의 위상이 악화되는 점을 감안하면 중국의 국내 투자규모는 주식과 채권과 관계없이 더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차이나 머니에 의해 통화정책이 무력화되는 ‘한국판 윔불던 현상’까지 우려될 정도다.
다섯째, 출구전략에 대한 정확한 이해다. 출구전략은 경기나 자산시장의 회복정도를 감안해 정책수단면에서 ''비정상적‘인 것을 ’정상‘으로 돌려놓은 것이다. 비상대책은 그 자체로 인플레이션 등과 같은 부작용을 안고 있기 때문이다. 그런 만큼 출구전략의 본래 목적도 경기나 증시를 안정시키는데 있다.
이 때문에 출구전략 추진시 가장 경계해야 할 것이 ‘에클스의 실수(Eccles''s failure)''를 저지를 가능성이다. 경기나 자산시장이 어느 정도 회복되기 이전에 비상대책 추진에 따른 인플레이션 등과 같은 후유증을 너무 과도하게 해석해 성급하게 금리를 올리거나 유동성을 흡수하게 되면 1930년대 대공황처럼 돌이킬 수 없는 상황에 봉착하기 때문이다.
위기 3년차를 맞아 올해 경기나 증시는 아직까지 언제든지 변할 수 있는 젤리(jelly)형이라는 점이다. 이때 경계해야 할 것은 모든 면에서 균형을 잃은 쏠림현상이다. 주식투자도 언제든지 위험이 도살이고 있는 만큼 특정종목 비중이 과도하게 높으면 ‘하이먼-민스크 모델’에 따라 어느 날 갑자기 큰 화(禍)를 당할 수 있음을 명심해야 한다.
<글. 한상춘 한국경제TV 해설위원 겸 한국경제신문 객원논설위원>
이유는 간단하다. 당면한 인플레이션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기준금리를 더 올릴 수밖에 없고, 이 경우 시중 유동성이 흡수돼 주가는 하락국면에 진입한다는 것이다. 인플레이션은 우리만이 아니라 다른 국가들도 문제인 만큼 글로벌 증시도 유동성 장세가 종료된다는 것이 이 설의 핵심이다. 하지만 이 주장에 대해서는 몇 가지 분명히 할 대목이 있다.
첫째, 단순히 기준금리를 올린다고 해서 경기나 증시 입장에서 통화정책이 ‘긴축’으로 돌아섰느냐 하는 점이다. 통화정책 기조가 ‘완화’냐 ‘긴축’이냐는 적정금리 수준으로 파악해야 한다. 기준금리를 올리더라도 여전히 적정수준보다 낮으면 그때 통화정책은 ‘완화 혹은 부양’ 기조로 봐야 한다.
특정국의 적정금리를 파악하는 방법은 ‘피셔 공식’과 정책목적을 감안하는 ‘테일러 준칙’이 널리 알려져 있다. 우리의 경우 약 3.5% 내외로 추정된다. 현재 3%인 점을 감안하면 비록 작년 7월 이후 기준금리를 올려왔다 하더라도 경기나 증시 입장에서는 김중수 한은총재의 말대로 우호적인 통화정책을 추진한다고 볼 수 있다.
둘째, 유동성 장세라 하면 증시가용자금 차원의 개념이다. 증시가용자금은 정책요인과 시장요인에 의해 공급된다. 금융위기 과정에서 정책적으로 유동성을 공급한다 하더라도 실물경제와 증시에 다 유입되는 것은 아니다. 미래가 불확실하기 때문에 정책적으로 풀린 상당규모의 자금이 퇴장되거나 요구불 예금 등에 단기 부동화된다.
최근처럼 경기가 회복될 경우 정책적으로 유동성이 흡수된다 하더라도 퇴장되거나 단기 부동화됐던 자금들의 기회비용이 늘어 시중에 방출하게 된다. 이 경우 증시가용자금은 줄어들지 않는다. 오히려 기준금리가 적정수준 이상으로 올라가기 이전에는 증시가용자금은 더 늘어나는 것이 과거의 경험이다.
셋째, 경제와 증시활력지표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대표적으로 통화유통속도와 레버리지 비율을 들 수 있다. 이 두 지표는 각각 돈이 얼마나 잘 도느냐와 증거금대비 총투자 가능금액의 비율로 높을수록 경제와 증시가 활력이 높다는 것으로 해석된다. 금융과 실물간의 따로 노는 ''이분법 경제(dichotomized economy)''가 아니라는 뜻이다
갈수록 경제활력지표인 통화유통속도와 통화승수도 빠르게 회복되는 추세다. 우리만 하더라도 한때 0.6대까지 떨어졌던 통화유동속도가 최근에는 0.9에 근접하는 상황이다. 금융위기 과정에서 3배 이내로 축소됐던 레버리비 비율도 일부 ‘고위험-고수익’을 추가는 헤지펀드의 경우 10배 내외로 높아지고 있다.
넷째, 글로벌 차원에서 자금규모를 읽을 필요가 있다. 올 들어 유럽재정위기, 일본 대지진, 미국 신용등급 전망 하향 등 선진국에서 잇달아 악재들이 터져 나오면서 글로벌 유동성이 빠르게 신흥국으로 유입되고 있다. 작년 신흥국으로 유입된 글로벌 유동성은 약 1조 달러에 달했다.
특히 우리의 경우 차이나 머니가 집중적으로 유입되고 있다. 2009년말 이후 중국의 국내채권 매입규모는 약 7조원에 달한다. 최대 투자처인 미국 국채의 위상이 악화되는 점을 감안하면 중국의 국내 투자규모는 주식과 채권과 관계없이 더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차이나 머니에 의해 통화정책이 무력화되는 ‘한국판 윔불던 현상’까지 우려될 정도다.
다섯째, 출구전략에 대한 정확한 이해다. 출구전략은 경기나 자산시장의 회복정도를 감안해 정책수단면에서 ''비정상적‘인 것을 ’정상‘으로 돌려놓은 것이다. 비상대책은 그 자체로 인플레이션 등과 같은 부작용을 안고 있기 때문이다. 그런 만큼 출구전략의 본래 목적도 경기나 증시를 안정시키는데 있다.
이 때문에 출구전략 추진시 가장 경계해야 할 것이 ‘에클스의 실수(Eccles''s failure)''를 저지를 가능성이다. 경기나 자산시장이 어느 정도 회복되기 이전에 비상대책 추진에 따른 인플레이션 등과 같은 후유증을 너무 과도하게 해석해 성급하게 금리를 올리거나 유동성을 흡수하게 되면 1930년대 대공황처럼 돌이킬 수 없는 상황에 봉착하기 때문이다.
위기 3년차를 맞아 올해 경기나 증시는 아직까지 언제든지 변할 수 있는 젤리(jelly)형이라는 점이다. 이때 경계해야 할 것은 모든 면에서 균형을 잃은 쏠림현상이다. 주식투자도 언제든지 위험이 도살이고 있는 만큼 특정종목 비중이 과도하게 높으면 ‘하이먼-민스크 모델’에 따라 어느 날 갑자기 큰 화(禍)를 당할 수 있음을 명심해야 한다.
<글. 한상춘 한국경제TV 해설위원 겸 한국경제신문 객원논설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