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정례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연 3.25%로 석달째 동결했다.
기준금리는 지난해 11월을 기점으로 격월로 인상되면서 2008년 12월 이후 2년3개월만에 처음으로 지난 3월 연 3.0로 올라선 뒤 지난 6월 연 3.25로 인상됐다가 이후 계속 동결이다.
미국과 유럽을 중심으로 세계경제의 불확실성이 높아졌다는 `외적 요인`과 수출 신장세가 꺾이는 등 `내적 요인`이 겹치면서 국내외 경기둔화 우려가 높아진 점이 동결 배경이 된 것으로 보인다.
특히 최근들어 신규 일자리 창출 규모가 제로(0)에 머무는 등 미국의 경기둔화 우려가확산된 것도 이번 금리 결정의 주요 잣대가 된 것으로 보인다.
지난 7월까지 호조세였던 국내 수출이 8월 들어 흑자규모가 급격히 줄어든데다, 최근 당국과 금융기관들의 가계대출 자제 움직임이 계속되고 있다는 정책적 여건도 동결론에 힘을 실어준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한국은행법 개정으로 한은 존립목적에 `금융안정`이 더해지면서 금융당국이 우회적으로 금리 인상을 통한 한은의 가계부채 관리를 촉구하고 있다는 점은 이번 동결의 부담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9월부터 물가가 안정세를 되찾을 것이라는 당국의 전망에도 불구, 지난 8월 각종 물가지표가 최고치를 갈아치운 점도 부담이다.
기준금리는 지난해 11월을 기점으로 격월로 인상되면서 2008년 12월 이후 2년3개월만에 처음으로 지난 3월 연 3.0로 올라선 뒤 지난 6월 연 3.25로 인상됐다가 이후 계속 동결이다.
미국과 유럽을 중심으로 세계경제의 불확실성이 높아졌다는 `외적 요인`과 수출 신장세가 꺾이는 등 `내적 요인`이 겹치면서 국내외 경기둔화 우려가 높아진 점이 동결 배경이 된 것으로 보인다.
특히 최근들어 신규 일자리 창출 규모가 제로(0)에 머무는 등 미국의 경기둔화 우려가확산된 것도 이번 금리 결정의 주요 잣대가 된 것으로 보인다.
지난 7월까지 호조세였던 국내 수출이 8월 들어 흑자규모가 급격히 줄어든데다, 최근 당국과 금융기관들의 가계대출 자제 움직임이 계속되고 있다는 정책적 여건도 동결론에 힘을 실어준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한국은행법 개정으로 한은 존립목적에 `금융안정`이 더해지면서 금융당국이 우회적으로 금리 인상을 통한 한은의 가계부채 관리를 촉구하고 있다는 점은 이번 동결의 부담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9월부터 물가가 안정세를 되찾을 것이라는 당국의 전망에도 불구, 지난 8월 각종 물가지표가 최고치를 갈아치운 점도 부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