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주식시장의 변동성이 최근 글로벌 금융위기의 진원지인 유럽 수준으로 악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미국 신용등급 하향조정 직후인 8월 6일부터 이달 15일까지 코스피의 하루 평균 변동성은 2.78%에 달했다.
코스피의 변동성은 은행의 신용등급 강등으로 주가가 폭락한 프랑스와 비슷한 수준이다. 프랑스 CAC30지수의 같은 기간 변동성은 2.84%다.
위기의 또다른 진원지인 미국의 다우존스지수 변동성은 2.32%로, 오히려 코스피보다 작았다.
신흥국 증시 중에서도 한국 증시의 변동성은 압도적으로 높다.
최근 한 달간 아시아 신흥국 주가지수의 하루평균 장중 변동성은 중국 상하이지수가 1.5%, 인도와 인도네시아가 2%, 말레이시아가 1% 수준이다. 코스피의 2.8%에 비해서는 중국은 절반, 인도나 인도네시아는 3분의 1이라는 뜻이다.
한국증시의 변동성이 큰 것은 외국인 비중이 높기 때문이다. 국내 증시의 외국인 비중은 31%에 달한다. 인도 19%, 인도네시아 17%, 중국 9% 등에 비하면 월등히 높다.
18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미국 신용등급 하향조정 직후인 8월 6일부터 이달 15일까지 코스피의 하루 평균 변동성은 2.78%에 달했다.
코스피의 변동성은 은행의 신용등급 강등으로 주가가 폭락한 프랑스와 비슷한 수준이다. 프랑스 CAC30지수의 같은 기간 변동성은 2.84%다.
위기의 또다른 진원지인 미국의 다우존스지수 변동성은 2.32%로, 오히려 코스피보다 작았다.
신흥국 증시 중에서도 한국 증시의 변동성은 압도적으로 높다.
최근 한 달간 아시아 신흥국 주가지수의 하루평균 장중 변동성은 중국 상하이지수가 1.5%, 인도와 인도네시아가 2%, 말레이시아가 1% 수준이다. 코스피의 2.8%에 비해서는 중국은 절반, 인도나 인도네시아는 3분의 1이라는 뜻이다.
한국증시의 변동성이 큰 것은 외국인 비중이 높기 때문이다. 국내 증시의 외국인 비중은 31%에 달한다. 인도 19%, 인도네시아 17%, 중국 9% 등에 비하면 월등히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