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협과 새마을금고 등 상호금융회사를 비롯한 비은행권의 가계대출이 최근 석달새 10조원이나 늘었다. 같은 기간 은행권 가계대출 증가폭의 2배에 육박하는 규모다.
6일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지난달 가계대출은 전체 금융권에서 3조3천억원 증가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가계대출 잔액은 732조2천억원으로 늘었다.
가계대출이 비정상적인 과열 현상을 보였던 지난 8월의 증가액 6조원에 비교해 지난달 들어 증가폭이 반토막난 셈이다.
은행의 가계대출 증가가 눈에 띄게 둔화했다. 7월 2조2천억원에서 8월 2조5천억원으로 늘어난 은행 가계대출은 지난달 5천억원으로 증가폭이 5분의 1로 작아졌다.
그러나 비은행 가계대출은 3조5천억원에서 2조8천억원으로 7천억원 감소하는 데 그쳤다. 지난 7월의 증가액 1조9천억원을 더하면 8조2천억원이나 급증한 것이다.
여기에 금융위 집계로 잡히지 않은 새마을금고의 가계대출 증가세까지 감안하면 전체 비은행 가계대출은 3개월 만에 10조원가량 증가한 것으로 추정돼
지난 7~9월 은행의 가계대출 증가액 5조2천억원과 비교하면 갑절에 가까운 규모다.
새마을금고는 올해 1월 1천500억원에서 3월 3천300억원, 5월 5천700억원, 7월 6천억원으로 가계대출 증가폭이 계속 커졌다.
비은행 가계대출의 급증은 새마을금고를 포함해 농ㆍ수협 단위조합과 신협 등 상호금융회사가 주도했다.
상호금융 가계대출은 7월 1조1천억원, 8월 1조8천억원, 9월 1조6천억원으로 당국의 억제대책에도 불구 꾸준히 늘어 3개월 동안 무려 4조5천억원 증가했다.
상호금융은 전체 가계대출 증가액 13조4천억원의 33.6%, 비은행 가계대출 증가액 8조2천억원의 54.9%를 차지했다.
가계대출 자산이 194조5천억원으로 은행(447조5천억원)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상호금융이 최근 3개월간 은행권 가계대출 증가폭에 맞먹는 증가세를 보인 것이다.
이처럼 상호금융의 가계대출이 급증한 배경은 한때 가계대출을 전면 중단할 정도로 지난 8월 이후 은행의 가계대출이 위축된 데 따른 반작용 때문이다.
조합원이 아니라도 우대 조건으로 대출받는 `간주조합원` 등 제도상 허점과 총부채상환비율(DTI)ㆍ담보인정비율(LTV)이 느슨하게 적용되는 문제점도 지적된다.
아울러 상호금융이 지난 2009년 비과세 예금한도가 3천만원으로 확대된 이후 시장의 여유자금을 빨아들여 공격적으로 운용한 결과도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6일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지난달 가계대출은 전체 금융권에서 3조3천억원 증가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가계대출 잔액은 732조2천억원으로 늘었다.
가계대출이 비정상적인 과열 현상을 보였던 지난 8월의 증가액 6조원에 비교해 지난달 들어 증가폭이 반토막난 셈이다.
은행의 가계대출 증가가 눈에 띄게 둔화했다. 7월 2조2천억원에서 8월 2조5천억원으로 늘어난 은행 가계대출은 지난달 5천억원으로 증가폭이 5분의 1로 작아졌다.
그러나 비은행 가계대출은 3조5천억원에서 2조8천억원으로 7천억원 감소하는 데 그쳤다. 지난 7월의 증가액 1조9천억원을 더하면 8조2천억원이나 급증한 것이다.
여기에 금융위 집계로 잡히지 않은 새마을금고의 가계대출 증가세까지 감안하면 전체 비은행 가계대출은 3개월 만에 10조원가량 증가한 것으로 추정돼
지난 7~9월 은행의 가계대출 증가액 5조2천억원과 비교하면 갑절에 가까운 규모다.
새마을금고는 올해 1월 1천500억원에서 3월 3천300억원, 5월 5천700억원, 7월 6천억원으로 가계대출 증가폭이 계속 커졌다.
비은행 가계대출의 급증은 새마을금고를 포함해 농ㆍ수협 단위조합과 신협 등 상호금융회사가 주도했다.
상호금융 가계대출은 7월 1조1천억원, 8월 1조8천억원, 9월 1조6천억원으로 당국의 억제대책에도 불구 꾸준히 늘어 3개월 동안 무려 4조5천억원 증가했다.
상호금융은 전체 가계대출 증가액 13조4천억원의 33.6%, 비은행 가계대출 증가액 8조2천억원의 54.9%를 차지했다.
가계대출 자산이 194조5천억원으로 은행(447조5천억원)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상호금융이 최근 3개월간 은행권 가계대출 증가폭에 맞먹는 증가세를 보인 것이다.
이처럼 상호금융의 가계대출이 급증한 배경은 한때 가계대출을 전면 중단할 정도로 지난 8월 이후 은행의 가계대출이 위축된 데 따른 반작용 때문이다.
조합원이 아니라도 우대 조건으로 대출받는 `간주조합원` 등 제도상 허점과 총부채상환비율(DTI)ㆍ담보인정비율(LTV)이 느슨하게 적용되는 문제점도 지적된다.
아울러 상호금융이 지난 2009년 비과세 예금한도가 3천만원으로 확대된 이후 시장의 여유자금을 빨아들여 공격적으로 운용한 결과도 작용했다는 분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