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이 세포 사이 어떤 신호전달 체계를 통해 생겨나고 성장하는지, 그 원리를 국내 연구진이 밝혀냈다.
교육과학기술부는 연세대 육종인.김현실.김남희 교수가 주도하고 이화여대 이상혁 교수, 미국 버지니아대 굼비너 교수, 미시간대 와이스 교수 등이 참여한 연구팀이 `p53` 유전자와 `윈트 신호`의 상호작용으로 암이 유발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1일 밝혔다.
p53 유전자는 대표적인 암 억제 유전자로, 이 유전자가 돌연변이를 일으켜 제 역할을 하지 못하면 암이 나타난다. 실제로 이 유전자 이상은 암 환자 절반 이상에서 발견된다.
윈트 신호란 단백질 윈트를 중심으로 이뤄지는 줄기세포 간 신호 전달 체계를 말한다. 윈트 신호는 세포의 성장과 분화에 영향을 미치며, 이 신호 체계가 비정상적으로 활발해지면 암 또는 암줄기세포의 증식이 촉진된다.
이처럼 이 두 가지 발암 요소가 서로 함께 작용한다는 사실은 처음 밝혀진 성과라는 게 연구팀의 설명이다.
이번 연구결과에 따르면 p53 유전자는 마이크로RNA를 매개체로 윈트 신호를 제어하고, 그 결과 암 유발을 억제할 수 있다. 마이크로RNA는 21~23개 염기로 구성된 아주 작은 RNA(리보핵산)을 말한다.
암 발생과 관련, 이처럼 p53 유전자와 마이크로RNA, 윈트 신호 사이의 관계가 밝혀짐에 따라 앞으로 암 치료의 초점을 현실적으로 어려운 `p53 돌연변이 유전자 회복` 대신 `마이크로RNA와 윈트 신호 사이 체계 회복`에 맞출 수 있게 됐다.
연구팀은 "대략 일반적인 암의 50% 정도가 이 `p53 유전자-마이크로RNA-윈트신호` 시스템의 문제 때문에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된다"며 "이 신호전달 체계를 구체적으로 연구하면, 앞으로 환자별 맞춤형 암 치료나 암세포만을 없애는 표적 치료제 개발이 가능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논문은 세계 최고권위 과학전문지 `사이언스`의 세포신호전달 분야 자매지 `사이언스 시그널링` 1일자에 실렸다.
교육과학기술부는 연세대 육종인.김현실.김남희 교수가 주도하고 이화여대 이상혁 교수, 미국 버지니아대 굼비너 교수, 미시간대 와이스 교수 등이 참여한 연구팀이 `p53` 유전자와 `윈트 신호`의 상호작용으로 암이 유발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1일 밝혔다.
p53 유전자는 대표적인 암 억제 유전자로, 이 유전자가 돌연변이를 일으켜 제 역할을 하지 못하면 암이 나타난다. 실제로 이 유전자 이상은 암 환자 절반 이상에서 발견된다.
윈트 신호란 단백질 윈트를 중심으로 이뤄지는 줄기세포 간 신호 전달 체계를 말한다. 윈트 신호는 세포의 성장과 분화에 영향을 미치며, 이 신호 체계가 비정상적으로 활발해지면 암 또는 암줄기세포의 증식이 촉진된다.
이처럼 이 두 가지 발암 요소가 서로 함께 작용한다는 사실은 처음 밝혀진 성과라는 게 연구팀의 설명이다.
이번 연구결과에 따르면 p53 유전자는 마이크로RNA를 매개체로 윈트 신호를 제어하고, 그 결과 암 유발을 억제할 수 있다. 마이크로RNA는 21~23개 염기로 구성된 아주 작은 RNA(리보핵산)을 말한다.
암 발생과 관련, 이처럼 p53 유전자와 마이크로RNA, 윈트 신호 사이의 관계가 밝혀짐에 따라 앞으로 암 치료의 초점을 현실적으로 어려운 `p53 돌연변이 유전자 회복` 대신 `마이크로RNA와 윈트 신호 사이 체계 회복`에 맞출 수 있게 됐다.
연구팀은 "대략 일반적인 암의 50% 정도가 이 `p53 유전자-마이크로RNA-윈트신호` 시스템의 문제 때문에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된다"며 "이 신호전달 체계를 구체적으로 연구하면, 앞으로 환자별 맞춤형 암 치료나 암세포만을 없애는 표적 치료제 개발이 가능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논문은 세계 최고권위 과학전문지 `사이언스`의 세포신호전달 분야 자매지 `사이언스 시그널링` 1일자에 실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