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경제연구원은 8일 `2012년 국내 10대 트렌드` 보고서에서 "올해는 경제성장률 둔화 속에 살림살이는 팍팍해지고 중산층은 붕괴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연구원은 `하우스 푸어`, `워킹 푸어`, `리타이어 푸어` 등 3대 신빈곤층이 늘어나 이들을 중산층으로 복귀시키는 정책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또 총선과 대선을 앞두고 이념간, 세대간, 지역간 다양한 사회갈등이 분출돼 통합과 갈등 관리가 이슈로 떠오를 수 있다고 예상했다.
다음은 연구원이 예상한 올해 10가지 트렌드이다.
▲ 꺼져가는 성장동력 = 올해도 저성장이 지속해 성장동력 약화가 우려된다. 투자 부진에 따른 자본축적 저하, 고령인구 비중 증가에 의한 노동투입력 약화, 내수 부문의 취약, 신(新)성장 산업 출현의 지연 등이 원인이다.
▲ 일하고 싶은 노인, 땀 흘리기 싫은 청년 = 고령층 노인인구가 증가해 일하기를 원하는 노인이 증가할 것이다. 청년층은 학력인플레이션으로 기대수준이 높아져 땀 흘리는 일자리를 기피, 중소기업은 구인난을 겪는다. 반면 대기업과 공공 일자리를 선호하는 청년층의 구직난은 이어질 것이다.
▲ 가벼운 장바구니, 빡빡한 살림살이 = 가계 실질소득 증가율이 1%대로 낮은 수준이고 공공요금 인상 등 물가상승세가 지속해 실질임금 감소폭은 커지고 있다. 가계부채 원리금 상환부담은 커져 가계 살림살이가 더욱 빡빡해질 것이다.
▲ 중산층 붕괴 속 신빈곤층의 확장 = 집이 있지만 집 때문에 가난하게 사는 `하우스푸어`, 직장은 있지만 비정규직과 저임금 딱지가 붙은 `워킹푸어`, 자식교육으로 노후를 준비못한 `리타이어(retire) 푸어` 등이 신빈곤층에 속한다. 이들을 다시 중산층으로 끌어올리는 정책이 시급하다.
▲ 화려한 복지, 초라한 일자리 = 선거의 해인 만큼 정치인들이 제시하는 화려한 복지공약의 유혹에 시달릴 수 있다. 고용안정과 직업훈련 등 고용창출에 도움이 되는 일자리 복지는 뒷전에 밀릴 전망이다.
▲ 세계 1등 제품으로의 성장 = 철강과 전자기기 등 전통적인 경쟁력을 지닌 제품은 물론 이를 기반으로 한 자동차, TV 등이 1등 제품으로 세계 시장의 중심에 진입하고 있다.
▲ 빨간 신호등 켜진 기업경영 = 경영환경 불확실성이 고조되고 기업들의 불안심리가 확산해 비상경영체제를 통한 내실경영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대규모 시설투자보단 원가절감과 내부 조직개편, 유동성 확보가 주요 경영이슈로 부상할 것이다.
▲ K-Pop의 공습 = K-Pop은 장르적 다변화 시도, 서구에서의 지속성 증명, 아시아에서 혐(嫌)한류 극복 등을 위한 다양한 노력을 통해 더욱 성숙한 문화 콘텐츠로 진화할 예정이다.
▲ 다면화된 사회갈등의 분출 = 올해는 그간 잠재된 사회갈등 요인들이 한꺼번에 분출되는 한 해가 될 것이다. 총선과 대선 과정에서 이념ㆍ세대ㆍ지역ㆍ계층ㆍ노사ㆍ다문화 갈등 등 다양한 사회갈등이 복합적이고 중첩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 남북관계, 새로운 시작 = 북한은 대외 원조 확보와 북미 관계 개선을 위해 6자회담을 재개하려고 노력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국제적인 문제와 남북관계를 분리 적용함으로써 남북관계 경색이 우려된다.
연구원은 `하우스 푸어`, `워킹 푸어`, `리타이어 푸어` 등 3대 신빈곤층이 늘어나 이들을 중산층으로 복귀시키는 정책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또 총선과 대선을 앞두고 이념간, 세대간, 지역간 다양한 사회갈등이 분출돼 통합과 갈등 관리가 이슈로 떠오를 수 있다고 예상했다.
다음은 연구원이 예상한 올해 10가지 트렌드이다.
▲ 꺼져가는 성장동력 = 올해도 저성장이 지속해 성장동력 약화가 우려된다. 투자 부진에 따른 자본축적 저하, 고령인구 비중 증가에 의한 노동투입력 약화, 내수 부문의 취약, 신(新)성장 산업 출현의 지연 등이 원인이다.
▲ 일하고 싶은 노인, 땀 흘리기 싫은 청년 = 고령층 노인인구가 증가해 일하기를 원하는 노인이 증가할 것이다. 청년층은 학력인플레이션으로 기대수준이 높아져 땀 흘리는 일자리를 기피, 중소기업은 구인난을 겪는다. 반면 대기업과 공공 일자리를 선호하는 청년층의 구직난은 이어질 것이다.
▲ 가벼운 장바구니, 빡빡한 살림살이 = 가계 실질소득 증가율이 1%대로 낮은 수준이고 공공요금 인상 등 물가상승세가 지속해 실질임금 감소폭은 커지고 있다. 가계부채 원리금 상환부담은 커져 가계 살림살이가 더욱 빡빡해질 것이다.
▲ 중산층 붕괴 속 신빈곤층의 확장 = 집이 있지만 집 때문에 가난하게 사는 `하우스푸어`, 직장은 있지만 비정규직과 저임금 딱지가 붙은 `워킹푸어`, 자식교육으로 노후를 준비못한 `리타이어(retire) 푸어` 등이 신빈곤층에 속한다. 이들을 다시 중산층으로 끌어올리는 정책이 시급하다.
▲ 화려한 복지, 초라한 일자리 = 선거의 해인 만큼 정치인들이 제시하는 화려한 복지공약의 유혹에 시달릴 수 있다. 고용안정과 직업훈련 등 고용창출에 도움이 되는 일자리 복지는 뒷전에 밀릴 전망이다.
▲ 세계 1등 제품으로의 성장 = 철강과 전자기기 등 전통적인 경쟁력을 지닌 제품은 물론 이를 기반으로 한 자동차, TV 등이 1등 제품으로 세계 시장의 중심에 진입하고 있다.
▲ 빨간 신호등 켜진 기업경영 = 경영환경 불확실성이 고조되고 기업들의 불안심리가 확산해 비상경영체제를 통한 내실경영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대규모 시설투자보단 원가절감과 내부 조직개편, 유동성 확보가 주요 경영이슈로 부상할 것이다.
▲ K-Pop의 공습 = K-Pop은 장르적 다변화 시도, 서구에서의 지속성 증명, 아시아에서 혐(嫌)한류 극복 등을 위한 다양한 노력을 통해 더욱 성숙한 문화 콘텐츠로 진화할 예정이다.
▲ 다면화된 사회갈등의 분출 = 올해는 그간 잠재된 사회갈등 요인들이 한꺼번에 분출되는 한 해가 될 것이다. 총선과 대선 과정에서 이념ㆍ세대ㆍ지역ㆍ계층ㆍ노사ㆍ다문화 갈등 등 다양한 사회갈등이 복합적이고 중첩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 남북관계, 새로운 시작 = 북한은 대외 원조 확보와 북미 관계 개선을 위해 6자회담을 재개하려고 노력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국제적인 문제와 남북관계를 분리 적용함으로써 남북관계 경색이 우려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