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해저 기자재의 국산화에 박차를 가하기 위한 `해양플랜트 기자재 R&D센터`가 문을 열었습니다.
지식경제부는 28일 부산에서 윤상직 제1차관 등이 참석한 가운데 `해양플랜트 기자재 R&D센터` 개소식을 열었다고 밝혔습니다.
또, `해양플랜트 산업융합기술 심포지움`을 개최해 IT·신소재 기술 등과의 융합을 통한 해양플랜트 경쟁력 제고방안을 논의했습니다.
해양플랜트의 수요가 2010년 1천400억 달러에서 2050년에는 5천억 달러로 성장할 전망입니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보유 광구가 없어 심해저(Subsea) 시장에는 아직 진출하지 못하고 있으며 기자재 국산화도 미흡한 실정입니다.
지경부 관계자는 "이번 센터 개소는 심해저 분야에 진출하는 기반을 마련하고 현재 20% 수준에 머물러 있는 해양플랜트 기자재 국산화율을 2020년까지 50%대에 높이는데 일조할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습니다.
지식경제부는 28일 부산에서 윤상직 제1차관 등이 참석한 가운데 `해양플랜트 기자재 R&D센터` 개소식을 열었다고 밝혔습니다.
또, `해양플랜트 산업융합기술 심포지움`을 개최해 IT·신소재 기술 등과의 융합을 통한 해양플랜트 경쟁력 제고방안을 논의했습니다.
해양플랜트의 수요가 2010년 1천400억 달러에서 2050년에는 5천억 달러로 성장할 전망입니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보유 광구가 없어 심해저(Subsea) 시장에는 아직 진출하지 못하고 있으며 기자재 국산화도 미흡한 실정입니다.
지경부 관계자는 "이번 센터 개소는 심해저 분야에 진출하는 기반을 마련하고 현재 20% 수준에 머물러 있는 해양플랜트 기자재 국산화율을 2020년까지 50%대에 높이는데 일조할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