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최근 시장에서는 기업들의 법정관리신청이나 자본 잠식 등이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는데요.
함부로 투자했다가는 `웅진 사태` 처럼 상당한 투자 손실을 볼 수 있어 주의가 요구됩니다.
어예진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회사채나 기업어음, 주식 등에 돈을 넣은 일반 투자자들이 웅진그룹의 법정관리 신청 이후 손실 공포에 떨고 있습니다.
제2, 제3의 웅진이 나올 수 있다는 걱정때문입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올해 초부터 9월까지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 상장사 중 기업회생절차신청을 한 기업은 모두 12곳.
그런데 내부 정보를 파악한 기업 고위층 인사들은 그나마 손실을 회피한 반면 일반 투자자들은 피해를 고스란히 떠안았습니다.
<브릿지- 어예진 기자>
"기업회생절차의 경우 대주주가 가장 먼저 알고 보유주식을 처분한 뒤에 공시를 하는 경우가 많아 투자자 피해는 물론 경영자의 도덕적 해이가 논란 되고 있습니다."
<전화 인터뷰 - 증권가 관계자 (음성변조)>
"회생절차는 오너가 숨기고 있다가 나중에 오픈(공시)하고서야 알 수 있는 것이죠. (이런 것은 미리 알기가 힘들잖아요. 관계자가 아닌 이상) 전혀 알 수가 없겠죠."
이런 가운데 회사의 적자폭이 커져 자본잠식률이 50% 이상 되는 상장사는 올해 현재까지 유가와 코스닥을 합쳐 30개에 달했습니다.
완전자본잠식된 건설사들이 주를 이뤘으며 대부분 관리종목으로 지정되거나 거래가 정지 또는 상장폐지 된 상태입니다.
하지만 자본 잠식과 같은 재무 위기 신호는 개인 투자자가 분석을 통해 스스로 잡아내기 힘들다는 한계가 있습니다.
이렇게 되자 거래소는 올해부터 `자본잠식률 50%` 등의 공시를 내부 결산 확정 후 바로 공시하도록 변경해 최소 한 달 정도 공시 시점을 앞당겼습니다.
전문가들은 재무 건정성과 안정적인 성장, 영업이익률이 몇년간 플러스인 우량 회사에 투자하는 것이 리스크를 줄이는 최선의 방법이라고 조언합니다.
한국경제 TV 어예진입니다.
최근 시장에서는 기업들의 법정관리신청이나 자본 잠식 등이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는데요.
함부로 투자했다가는 `웅진 사태` 처럼 상당한 투자 손실을 볼 수 있어 주의가 요구됩니다.
어예진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회사채나 기업어음, 주식 등에 돈을 넣은 일반 투자자들이 웅진그룹의 법정관리 신청 이후 손실 공포에 떨고 있습니다.
제2, 제3의 웅진이 나올 수 있다는 걱정때문입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올해 초부터 9월까지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 상장사 중 기업회생절차신청을 한 기업은 모두 12곳.
그런데 내부 정보를 파악한 기업 고위층 인사들은 그나마 손실을 회피한 반면 일반 투자자들은 피해를 고스란히 떠안았습니다.
<브릿지- 어예진 기자>
"기업회생절차의 경우 대주주가 가장 먼저 알고 보유주식을 처분한 뒤에 공시를 하는 경우가 많아 투자자 피해는 물론 경영자의 도덕적 해이가 논란 되고 있습니다."
<전화 인터뷰 - 증권가 관계자 (음성변조)>
"회생절차는 오너가 숨기고 있다가 나중에 오픈(공시)하고서야 알 수 있는 것이죠. (이런 것은 미리 알기가 힘들잖아요. 관계자가 아닌 이상) 전혀 알 수가 없겠죠."
이런 가운데 회사의 적자폭이 커져 자본잠식률이 50% 이상 되는 상장사는 올해 현재까지 유가와 코스닥을 합쳐 30개에 달했습니다.
완전자본잠식된 건설사들이 주를 이뤘으며 대부분 관리종목으로 지정되거나 거래가 정지 또는 상장폐지 된 상태입니다.
하지만 자본 잠식과 같은 재무 위기 신호는 개인 투자자가 분석을 통해 스스로 잡아내기 힘들다는 한계가 있습니다.
이렇게 되자 거래소는 올해부터 `자본잠식률 50%` 등의 공시를 내부 결산 확정 후 바로 공시하도록 변경해 최소 한 달 정도 공시 시점을 앞당겼습니다.
전문가들은 재무 건정성과 안정적인 성장, 영업이익률이 몇년간 플러스인 우량 회사에 투자하는 것이 리스크를 줄이는 최선의 방법이라고 조언합니다.
한국경제 TV 어예진입니다.